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에 과학]토끼 유전자로 식물 공기정화 능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검증해보기로 했습니다. 유리관에 식물을 넣은 다음, 벤젠과 클로로포름 기체를 여러
실험
군에 단계별로 나눠 주입했습니다. 유전자를 변형한 포도스 아이비를 넣은 유리관 속 클로로포름 농도는 3일 만에 평균 82%가 줄었습니다. 6일이 지나면 거의 완전히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도 ... ...
우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까
2018.12.21
관심을 갖고 있음을 맥클레인의 트위터를 통해 말하고 있습니다. ISS의 영하 80도의
실험
실 냉동고가 북극보다 차갑다며 호기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도 지구 밖 우주의 크리스마스는 외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ISS의 냉동고인 MELFI 옆에 있는 엘프. 앤 맥클레인 참고 http://libcom.org/history/1973 ... ...
개미떼처럼 스스로 무리를 이루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군집로봇 ‘킬로봇’이 다른 로봇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별 모양의 군집 구조를 이루는
실험
을 진행했다. 당시 로봇들은 서로 간 거리를 제한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군집 구조 형성은 중앙의 통제를 따랐다. 연구진은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킬로봇에 적용했다. ... ...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해서 걱정했는데, 실제로는 HMD에서 얼굴에 닿는 부분에 전극이 들어가 이물감이 없었다.
실험
이라 HMD를 빼고 눈썹 위와 눈 아래에 어른 새끼손톱만 한 전극 8개를 붙이자 준비가 끝났다. 처음 사용할 때는 11개 표정을 한 번씩 지으며 ‘등록’하는 절차가 있다. 개인마다 표정과 근전도 패턴이 달라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사이언스’ 독자들이 꼽은 2018년 가장 중요한 과학 뉴스 세 가지가 발표됐다. 왼쪽은
실험
동물로 쓰이는 작은 어류 제브라피시 배아를 24시간 키운 뒤 공초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으로, 올해 이 세포 하나하나를 배아 초기부터 시간별로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이 올해의 과학 ... ...
뇌출혈 없는 안전한 뇌 조직검사용 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이 연구는 실시간으로 뇌 검사 중 혈관을 OCT로 찾아낸 최초의 사례”라 말했다. 임상
실험
을 주도한 크리스토퍼 린드 호주 찰스 게이드너 병원 교수는 “새로운 기술이 검사 중 뇌출혈 위험을 줄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유전자가위와 나노 접목한 새 유전자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연구팀은 백혈구 표면의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인 CCR5 유전자를 이 방식으로 검출하는
실험
을 통해 실제 검증도 마쳤다. 미세유체 채널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해 진단 키트로 만들기 좋은 기술이다. 현장에서 급히 유전자 검사를 해야 하는 진단기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여부를 논하기 어렵다. 연구 결과에 앞서 배아를 직접 교정해 실제 아기를 태어나게 하는
실험
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겨줬다. 웰컴 트러스트재단은 지난 8월 영국 암연구소의 암유전학자 나즈닌 라만이 다른 연구자를 괴롭혀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후원을 끊기로 ... ...
음식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 주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먹기 시작하며 몸무게가 정상 체중으로 돌아왔다. 연구진은 쥐보다 큰 동물에도
실험
을 해보고 임상까지 적용할 계획이다. 왕 교수는 “배터리 없는 장치는 다른 기술보다 비만을 잡는 데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수 없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자체가 전염성이 있다는 주장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
과정에서 나타나듯 수술과 같은 치료로 인해 인간 간에 이러한 단백질이 전염되어 뇌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콜린지 교수는 과거에도 수혈을 통해서도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유발될 수 ... ...
이전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