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LINK보다 더 높은 고도에 있어요. 현재 통신이 되지 않아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지만, 4년째 우주에 머물고 있지요. 과학자들은 이처럼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끝내 우주에 남아 있는 우주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해 궤도를 낮추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일단 우주쓰레기를 청소하는 큐브샛이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더 생겼답니다. 바로 지구온난화예요. 미국농업연구소의 마이클 코르츠킨 박사는 2004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온난화로 외래 붉은불개미의 서식지가 세계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발표했어요. 추웠던 북쪽 지역이 지구온난화로 점점 더워지면서, 외래 붉은불개미가 이전에 살지 못했던 북쪽으로도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같은 농업용 기계나 개인용 컴퓨터 안에 집을 지어서 망가뜨리는 일도 있지요. 미국(1940년대 유입)과 호주(2001년 유입)는 이개미로 인한 피해가 가장 많은 나라예요. 미국은 의약품과 살충제를 사고, 기계를 수리하는 등 피해를 수습하고 예방하는 데 한 해 7조 6027억 원을 쓰고 있지요. 호주도 피해 ... ...
- [쇼킹 사이언스]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푸른 용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사실 무척 위험해요. 바로 세계에서 가장 큰 강산성 호수로 손꼽히기 때문이지요. 2008년 캐나다의 탐험가 조지 쿠로니스는 고무보트를 타고 이 호수 위에서 직접 산성도를 측정 했어요. 그 결과 호수 가장자리의 pH는 0.5, 가운데의 pH는 0.13으로 측정됐지요. 쿠로니스는 이 호숫물에 알루미늄 캔이 ... ...
- [과학뉴스] 2017년 노벨상 발표! 수상의 영광은 누구에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노벨의 유언에 따라 만들어진 ‘노벨상’ 발표가 있기 때문이지요. 노벨상은 1901년에 시작된 상으로 해마다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경제학, 문학, 평화 총 6개 부문에서 인류의 복지에 도움을 준 사람에게 수여된답니다. 올해의 노벨평화상은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받았어요. ICAN은 ... ...
- [과학뉴스] 생체시계가 작동하는 원리를 밝혀낸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유전자의 작동원리를 알아냈지요.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인 ‘피리어드’는 1970년대 초파리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유전자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지 못했지요. 그런데 1984년 홀교수와 로스배시 교수가 피리어드 유전자가 만드는 ‘PER 단백질’을, 영 교수가 ‘타임리스 ...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홈이 있을 때 참개구리가 경사면을 잘 오를 수 있었어요.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2014년부터 3년 동안 흙 수로 주변 6개 논과 콘크리트 수로 주변 6개 논에서 1시간 동안 보이는 금개구리 수를 기록했어요. 또한, 금개구리는 멸종위기종이기 때문에 참개구리로 실험했어요. 완주군청에 ‘야생동물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대표적인 사례는 브론토사우루스예요. 브론토사우루스는 중생대 쥐라기 1억 55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룡이에요. 몸길이는 20m이고, 몸무게 15t 정도로 거대한 몸집을 자랑해요. 지난 1879년, 미국 예일대학교 마쉬 박사가 미국 와이오밍 주에서 처음 뼈화석을 발견했고, 새로운 종으로 발표되었지요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이용하면 우주를 보는 시야가 훨씬 넓어지는 거예요.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40여 년 간의 노력 끝에 마침내 중력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천체물리학에서 혁명을 이뤘다”고 평가했지요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한다?!홍학의 색이 더 화려하고 짙은 붉은색을 띨 때가 있어요. 바로 짝짓기 시기예요. 2010년 스페인 도나냐 생물학 연구소 후안 아마트 박사팀은 큰홍학이 짝짓기 시기에 깃털을 더 화려하게 만들어 짝을 유인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우선 홍학의 꽁지에 있는 ‘우지선’이라는 ... ...
이전6356366376386396406416426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