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저승
나락
지옥
d라이브러리
"
땅속
"(으)로 총 1,965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09
지구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09
이중휴면 전략 펴는 깽깽이풀씨앗이 모체를 떠나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는 방법도 가지가지입니다. 물론 그에 맞춰 씨앗(또는 씨앗을 감싸고 있는 과피)의 형태도 적응돼 있지요. 마치 헬리콥터처럼 날개가 돌면서 떨어지는 단풍나무열매를 본 적이 있겠죠. 이처럼 껍질의 일부가 비늘처럼 돼 바람 ... ...
홍제천에 도롱뇽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청정 1급수에서만 산다는 도롱뇽이 서울 홍제천에 나타났어요. 홍제천은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 마포구에 걸쳐 흐르는 하천이지요. 마포구청에서 주민 제보를 받고 확인한 결과 홍제천변 습지에 도롱뇽 2마리가 알을 낳고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답니다. 서울시 보호야생동물인 도롱뇽은 몸길이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08
오랜 인류의 역사 속에는 수많은 문명이 탄생하고 사라졌어. 문명의 지도자들은 백성을 잘 다스리기 위해 해와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땅을 나누기 위해 기하학을 발전시켰지. 이들의 흔적은 문화유산 속에 잘 남아 있어.수학으로 세운 대피라미드 세계로 가는 수학여행의 첫 번째 도착지는 이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8
제 4화 하늘구경연월기의 몸통을 만드는 일이 시작됐다. 밤낮으로 야장들이 쇠를 담금질하고 벼림질하는 소리가 천지관을 울렸다.연월기의 설계도를 봤을 때, 지오는 소문으로만 듣던 첨성대를 떠올렸다. 연월기의 몸통은 삼국시대 신라에서 만들었다는 첨성대의 모양을 본뜬 듯했다.“첨성대는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08
‘웽~~.’ 하는 엔진소리가 시끄럽게 울려 퍼졌다. 검고 둥근 원통형 로봇 한 대가 땅을 박차고 하늘로 둥실 떠오르더니 15~20m 높이까지 훌쩍 솟아올랐다. 주변을 맴돌다 옆에있던 연못가로 날아갔다. 로봇이 두 개의 작은 물체를 물 위로 떨어뜨리자 물체는 즉시 부풀어 올라 노란색 구명조끼로 변했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
과학동아
l
201008
황금처럼 빛나는 누런 들판이 바닷물처럼 출렁인다. 하늘에서 선물이라도 쏟아지는지 들판은 쉴 새 없이 손을 흔든다. 나무들도 ‘선물’을 받으려고 하늘로 손을 뻗었다. 나무마다 머리 꼭대기가 연두색으로 밝게 빛난다. 가장 키가 큰 나무는 혼자 차지하고 싶어 온 가지를 사방으로 쭉 뻗어 기지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08
다윈 진화론의 아이콘인 ‘다윈의 핀치’ 14종. 이들은 부리의 크기와 모양이 제각각인데 저마다의 환경에 적응한 자연선택의 결과로 해석된다. 최근 핀치 부리의 다양성이 아핀변환이라는 간단한 수식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 이를 뒷받침하는 유전자 연구결과도 있다.아주 밀접한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08
남은 여행 일정은 유럽에서 보내려고 해. 중세를 지나 근대까지 유럽은 문화와 학문의 중심지답게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수학이 발전하면서 건축물 역시 점점 다양한 원리를 담게 됐지. 수학이 그려낸 문화유산의 매력에 빠져 보자.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담은 밀라노대성당 1386년 번 ... ...
몸으로 느끼는 수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08
‘세팍타크로’라고 들어 봤니? 아저씨들이 좋아하는 족구와 비슷한데, 공을 땅에 떨어뜨리면 안 되고 손을 못 쓰기 때문에 발로 하는 배구라고 할 수 있어. 그리고 공이 독특해. 구멍이 숭숭 나 있거든. 세팍타크로 공은 플라스틱 여러 개를 엮어서 구 모양을 만드는데, 오각형의 구멍과 구멍 주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