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업무
실무
일
영업
비즈니스
사업
장사
d라이브러리
"
사무
"(으)로 총 1,036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으로 보는 정보고속도로
과학동아
l
199502
기술적 부분에 숙달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4위·비즈니스 화상회의가정이나
사무
실 어디에서건 앉은 자리에서 회의를 열 수 있다. 당연히 재택근무도 가능하다. 굳이 모르는 사람과의 첫 대면시 느끼는 어색함에 당황할 필요도 없어진다.3위·원격 교육전화선을 이용해 대학교육도 가능하다. ... ...
2 홈PC 가족 모두 함께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502
활용도 뒤늦을 수 밖에 없다고 판단한 그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PC통신을 생각해냈다.
사무
실이라면 워드프로세서나 표계산 프로그램을 먼저 익히는 것이 순서이겠지만 문서를 꾸밀 일이 많지 않은 주부이고 보면, 장씨의 생각은 옳았다. 구입 즉시 하이텔에 한마음(HANMAEM)이란 아이디로 하이텔에 ... ...
1 PC, 생활필수품으로
과학동아
l
199502
것이다. 즉
사무
실이나 학교에 근거리통신망(LAN)이 완비되는 단계다. 이미 랜이 설치된
사무
실에서는 전자결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좀더 선진적인 회사에서는 앞으로 외국과의 무역에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를 이용해 주문서나 송장 등이 모두 전자적으로 처리되고 환업무도 비슷한 경로로 ... ...
3 홈PC 기본 소프트웨어 가이드
과학동아
l
199502
범위를 규정하는 것은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니다. 폭넓게 정의하면 특정한 목적의
사무
용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이 홈PC의 범주에 포함될 것이며, 지나치게 범위를 좁히면 교육용 소프트웨어만을 말하는 오류를 범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이러 이러한 조건을 갖춘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01
사화산이 아니고 화산활동이 잠재돼 있는 활화산으로 평가하고 있다. 연변조선족 지진
사무
소의 지진파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화산성 지진의 진원 깊이는 약 10-15㎞ 와 30-40㎞의 두 부분으로 분석된다.백두산 지역 모호면의 깊이가 약 38㎞임을 감안할 때 30-40㎞ 깊이는 현무암질 마그마방 깊이에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501
맡아 꾸미며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여행'은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 이태형
사무
처장이 구성합니다. 이 밖에도 천문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할 예정입니다.1월의 밤하늘TV를 끄고 밤하늘로 나가보자. 1월 초순에는 달이 그믐에서 신월로 접어들기 때문에 이즈음의 별밤은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12
대대적으로 보강했다.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 대수가 늘어나고 활용도도 높아지며, 같은
사무
실에서 하나의 작업을 위해서 여러 사람이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럴 때 꼭 필요한 것이 네트워크 기능이다.윈도스 95는 피어투 피어 랜 방식이나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랜에 접속하고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12
텔레비전이나
사무
실의 컴퓨터도 새로운 모습과 기능을 취할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다.
사무
실 공간을 벗어나 레저를 즐기는 것에도 새로운 도구의 등장은 필연적이다. 모든 사람들은 자기만의 채널을 가지고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무한정 선택해 볼 수 있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영화, 비디오,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11
플래시가 없어도 밤에 사진을 찍는 방법은? 그것은 노출을 오래 주는 것이다.밤에는 빛이 없기 때문에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카메라 플래시를 이용하여 인공적인 빛을 만 ... 사진 판매4. 안시관측(50여대의 망원경 동원하여 달 토성 성운 성단 관측)□ 문의:천문우주기획
사무
실(KAAS) 587~334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센터 이대실 박사는 90년 3월 노벨의학생리학상 위원회
사무
총장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린드스텐 박사가 내한했을 때 "한국에서 노벨상을 받는다면 누구겠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담박에 고대 미생물학과의 이호왕 교수를 꼽았다고 한다.이호왕 교수는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