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망 지도 각각 완성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투명하며, 배양이 쉽고 발생 단계가 비교적 단순해 생명과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암컷(
스스로
생식하거나 수컷과도 교미하는 자웅동체)은 302개, 수컷은 385개의 뉴런을 갖고 있어 인간 뇌의 수억 분의 1 수준으로 단순하다.커넥톰은 생명체 속 신경망의 연결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신경망 지도에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매년 봉사활동을 기획해 학생들을 참여시킨다. 꼭 학생회가 기획한 것이 아니더라도
스스로
찾은 봉사활동을 학생회와 연계하면 공식적인 인증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학생회는 워크숍과 외부 초청 세미나를 통해 리더십과 경영 등을 배울 수 있는 기회도 준다. 임페리얼칼리지에는 교양 과목이 ... ...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머리 위를 계속 날아다니면 부담스러울 거예요. 그래서 아스트로비는 사람과 가까워지면
스스로
고도를 낮춰 비행한답니다. 자연스럽게 ISS 대원의 시야에 들어와 불편함을 줄이는 거지요 ... ...
거짓말에 속지 않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많은 시간이 필요하죠.그래서 유튜브나 TV 등에서 나오는 뉴스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요. 이를 ‘미디어 리터러시’라 해요. 중요한 뉴스라고 생각하면 그 내용의 출처를 알아보고, 신뢰성 있는 언론에서 같은 내용을 다시 확인해보는 거죠. 간단하지만 이런 ... ...
거짓말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기계 학습 방법이에요.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본뜬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스스로
배울 수 있지요. 2014년, 구글의 컴퓨터과학자 이안 굿펠로는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적대적 생성망(GAN)’을 개발했어요. 위의 얼굴들은 모두 적대적 생성망 기술로 만들어졌지요.적대적 생성망은 크게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것이죠. 자동차가 사람처럼 복잡한 도로 상황을 판단해서
스스로
운전하는 기술은 아주 어렵고 복잡해서 아직까지 완벽한 자율주행차는 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최근 자율주행차의 성능을 지금보다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습니다. 1900년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이루는 핵산의 염기분자(아데닌)를 생성할 수도 있다. 황량한 우주가 복잡한 유기분자를
스스로
만들었다면 어떻게든 지구 생명체 탄생에 기여하지 않았을까.이 비밀을 풀 열쇠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머리 위로 쏟아져 내리고 있다. 지구에는 연간 약 4만t(톤)의 우주먼지가 떨어진다. 한반도는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배, 중력은 0.166배로 작다. 지구에서 몸무게가 65kg인 사람이 달에 가면 10.79kg이 된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한다. 태양의 빛이 닿는 표면이 반사돼 빛나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달은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약 45억 년 전 화성만한 천체가 지구와 충돌했고, 이때 떨어진 파편이 뭉쳐져 형성됐을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상태가 다음 상태를 결정합니다. 노이만은 이 개념을 이용해 주변 상황에 영향을 받아
스스로
복제하는 현상을 연구했죠. 세포 자동자를 유명하게 만든 건 영국 수학자 존 콘웨이에요. 콘웨이는 세포 자동자 원리를 이용해 초기 상태가 규칙에 따라 변하며 다양한 패턴을 만드는 ‘라이프 게임’을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특히 RNA가 복제할 때 촉매가 필요한데, 원시 지구에는 단백질 효소가 따로 없기 때문에
스스로
촉매 역할을 하는 RNA가 필요하다. 만약 염기쌍이 다양해져 RNA의 종류가 늘어나면 그중에서 촉매 역할을 하는 RNA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베너 박사가 염기쌍을 추가해 새로운 DNA를 만들어내기는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