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픽 뉴스] 토성 위성에서 생명체 필수 성분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
[과학뉴스]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물체를 탐지하는 연구를 하면서 목표물을 찬드라얀 1호와 달궤도정찰위성으로 잡았다.
NASA
가 이번 연구를 한 이유는 지구와 달 주위를 도는 위성 파편 등의 위험물체를 지상에서 추적하고 감시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특히 달 주위를 도는 물체는 달에서 반사되는 밝은 빛 때문에 찾기가 쉽지 ... ...
수학은 외계어!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7개나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NASA
가 발견한 행성 7개의 상상도. 이 중 6개는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뤄져 있고,기온이 물이 액체 상태일 정도라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강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은 “이번에 발견한 행성 7개는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뛰어나도 여전히 엔지니어 아래에서 일해야 했다. 미국 공대는 여성을 받아주지 않았고
NASA
또한 여성을 엔지니어로 고용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세 주인공 중 오직 메리 잭슨만이 상사의 추천을 받고 백인 학교에 다니도록 허가를 받은 뒤에야 겨우 엔지니어가 될 수 있었다. 그런 메리도 ...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구는 우주에서 온 전체 태양 복사 에너지의 약 70%를 흡수하고 나머지는 반사한다. 20%는 대기에 50%는 지표에 흡수된다. 지구기후시스템은 에너지 평형을 이루기 위해 흡수한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하려고 한다. 그러나 지구 복사 에너지는 태양 복사와 달리 잘 투과되지 않는다. 가까운 대기층의 수 ... ...
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구온난화는 중국 정부가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다.”트위터와 연설을 통해 ‘기후변화는 거짓말’이라는 주장을 반복했던 도널드 트럼프가 제45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기후변화 과학에 큰 위기가 닥쳤다. 트럼프 행정부는 화석 연료 개발을 통해 경제를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역의 온도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같은 기간 미국항공우주국(
NASA
) 고다드우주센터의 데이터(GISS),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데이터(NCDC), 위성을 사용해서 측정한 온도 데이터(UAH, RSS)를 보면 꽤 차이가 난다. 게다가 기온은 작년에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FACT B동일한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피겨스’는 1960년대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개발 경쟁에서 미국의 승리를 이끌었던
NASA
프로젝트의 숨겨진 천재 세 명의 실화를 다룬 영화다. 특출한 재능을 가진 수학자였던 캐서린 존슨은 머큐리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메리 잭슨은 엔지니어로서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화성, 달과 비슷한 조건의 토양에서 50일 동안 물만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실험을 했어요.
NASA
의 탐사 기록을 바탕으로 성분이 비슷한 흙을 찾아 재배한 거지요. 화성의 흙은 하와이의 화산에서, 달의 흙은 애리조나의 사막에서 구했습니다. 그 결과 화성(과 흡사한) 흙에서 유채와 겨자과의 식물이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발견됐다.영국 워릭대 천체물리학그룹 데이비드 암스트롱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케플러 망원경을 이용해 ‘HAT-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이동했다. 이는 행성의 대기 현상이 매우 심하게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