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산지
생육지
뉴스
"
서식환경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얼룩말 줄무늬, 왜 있는지 아시는 분~
과학동아
l
2014.04.04
흡혈파리가 알을 낳는 지역의 얼룩말은 다른 지역의 얼룩말보다 줄무늬가 발달했다. -위키미디어 제공 드넓은 아프리카의 열대초원 사바나. 황갈색의 보호색을 하고도 사냥감이 되기 쉬운 이곳에 멀리서도 유독 눈에 띄는 동물이 있다. 검은 몸에 흰 띠를 두른 얼룩말이다. 저러다 사자에게 잡아 ... ...
"나는야 6000살 먹은 물고기라네"
과학동아
l
2014.03.13
제주 용천동굴 속 호수에서 발견된 미끈망둑속 어류 - 제주대 제공 천연기념물 제466호 제주 용천동굴 속 호수에서 희귀어류가 6000년 넘게 서식하면서 진화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대 해양의생명과학부 송춘복 교수팀은 제주 용천동굴 내부 호수에 희귀어류인 미끈망둑(Luciogobius)과 같은 ... ...
기후변화는 거짓말? 동해·남해 오히려 차가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7
지구온난화는 기온 상승뿐만 아니라 바다 온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한반도 인근 해수면 온도는 20세기 후반 약 40년 동안 1.31도나 올랐다. 그런데 해수면이 데워지면 대류현상으로 바다 전체 온도도 올라갈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동해와 남해 수심 100m 이하 바다는 오히려 더 차가 ... ...
에베레스트 산보다 높이 나는 벌?!
과학동아
l
2014.02.28
위키미디어 제공 산뒤영벌(Bombus impetuosus)이 갖고 있는 놀라운 능력이 밝혀졌다. 에베레스트 산보다 높은, 공기가 희박한 곳에서도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다는 것으로 미국 캘리포니아대 통합생물학과 마이클 딜론 교수가 ‘왕립학회보 생물학회지’2월 4일자에 발표했다. 딜론 교수는 벌이 얼 ... ...
연구 열정 앞에는 뱃멀미도 '저리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를 출항한지 7일 째. 남태평양을 정남쪽으로 가로질러 가는 아라온 호는 출항이 하루 늦어진 것을 만회하기 위해 밤낮없이 최대 속력으로 전진하고 있어 가뜩이나 험한 파도는 더 크게 느껴진다. 이 때문에 배에 탄 사람들은 뱃멀미를 기본으로 달고 산다. 뱃멀미는 ... ...
무심코 집어온 조개껍질, 생태계 파괴의 원흉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동아일보DB 제공 휴가철 바닷가에 놀러 갔다가 예쁘게 생긴 조개껍질을 무심코 주워오는 것이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대 지질과학과 마이클 코왈로스키 교수팀은 1978~2008년 사이 스페인 카탈루냐 북동부에 위치한 야르가 해변에 ... ...
[제주]제주 숨은물벵디-물찻오름 습지, 람사르 등록 추진
동아일보
l
2014.01.08
[동아일보] 환경부, 국가습지 여부 상반기 결정 오름(작은 화산체)으로 둘러싸인 제주 제주시 애월읍 숨은물벵디 습지(4만3600m²)와 제주시 조천읍 물찻오름 습지(5000m²)의 람사르 협약 습지 등록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환경생태가 우수한 이들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환경부가 국가습지보 ... ...
'제3인류'처럼 휴대용 기기로 현장서 연대측정? 아직 불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위키미디어 제공 지난달 15일 ‘사이언스’에는 유럽 전역에서 발견된 늑대와 개 화석을 분석해 개의 기원을 밝힌 연구 결과가 실렸다. 같은 날 ‘네이처’는 최근 발견된 곤충 화석이 약 3억 년 전에 서식하던 애벌레라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고생물학계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들 ... ...
고래 진화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밍크고래는 수염고래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국내 동해 근해를 중심으로 일년에 80~100마리 정도 혼획된다. - 위키미디어 제공 지구상 가장 큰 포유류이면서 바다에서 폐로 숨쉬는 고래 진화의 비밀이 밝혀졌다. 해양과학기술원과 테라젠이텍스 ... ...
희귀새 솔양진이 독도서 첫 발견
동아일보
l
2013.11.20
[동아일보] 희귀새 ‘솔양진이’(사진)가 국내 처음으로 독도에서 발견됐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최근 독도 가을 정기 생태계 점검을 하던 중 솔양진이 수컷 한 마리를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환경청은 “솔양진이는 이번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관찰돼 조류 분포 연구에 큰 가치가 있다”고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