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진혁 LG전자 연구위원·이성진 시큐어셀 연구소장, 11월 대한민국엔지니어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1.11.08
- 엔지니어상 11월 수상자로 신진혁(왼쪽) 엘지전자 연구위원과 이성진(오른쪽) 시큐어셀 연구소장이 선정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무선 청소기 수출 증대에 기여한 신진혁 LG전자 연구위원과 전자여권용 보안칩을 개발한 이성진 시큐어셀 연구소장이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 ...
- 모빌리티로 확대되는 로봇기술들동아사이언스 l2021.11.08
- 인간과 기계 그리고 디자인’이 열렸다. 의료용 착용로봇인 에이치멕스(왼쪽)와 달이(오른쪽)이 전시돼 있다. 현대차 제공 전기차 한 대가 충전소에 들어와 멈춰서자 바퀴 달린 로봇 한 대가 차 가까이 다가섰다. 로봇은 차량 충전구를 찾아 문을 열고 곧바로 갖고 있던 충전기를 꽂는다. 전기차 ... ...
- [프리미엄 리포트]백신 접종 양극화, 고통의 기간 늘어난다2021.11.06
- 크게 증가한 포르투갈, 덴마크, 프랑스, 스페인 등의 국가는 확진자 수도 많았다(그래프 오른쪽 위). 물론 예외도 있다. 한국, 아이슬란드, 싱가포르 등은 유행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접종률이 빠르게 높아진 국가다(그래프 왼쪽 위). 이런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접종률과 유행 규모 ... ...
- 추울 때 따뜻함 찾는 이유...서울대 연구진, 뇌과학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1.11.05
- 유지 행동의 신경회로를 밝힌 주요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오른쪽부터 교신저자인 서울대 김성연 화학부 교수와 제1저자인 정시은, 이명선, 김동윤 연구원이다. 서울대 제공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밤에 난방을 하기 시작한다. 여름철에 즐기던 차가운 음료 대신 따뜻한 음료를 찾는다. 모두 ... ...
- "물 주입시 규모 5.5 지진 확률 17%" 포항지진, 예측 가능했다 동아사이언스 l2021.11.04
- 높아지고 2017년 4월 초 3차 물주입 후 규모 5.5 지진 발생확률이 17%로 높아졌다. 오른쪽 그림은 규모 4.0(보라색 선), 규모 4.5(하늘색 선)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다. 고려대 제공 포항지진의 경우 2017년 4월 초 3차 물 주입 후 4월 15일 규모 3.3의 지진이 발생했다. 새로운 예측법으로 계산한 결과 당시 규모 5 ... ...
- "울산 청년 창업 활성화에 써달라" 이준호 덕산그룹 회장 UNIST에 300억원 기부동아사이언스 l2021.11.04
-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300억원을 기부했다. 중간은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오른쪽은 이용훈 UNIST 총장.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울산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제 힘이 미치는 데까지 돕겠습니다.” 울산에서 나고 자란 기업가인 이준호 덕산그룹 회장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30 ... ...
- 128억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물 분자 발견했다동아사이언스 l2021.11.04
- 떨어진 은하(SPT0311-58)다. 연구팀은 칠레에 설치된 알마(ALMA) 망원경으로 이 은하의 먼지(오른쪽 맨 위), 물(오른쪽 위에서 두 번째), 일산화탄소(오른쪽 세 번째부터 맨 아래까지)를 탐지했으며, 왼쪽 사진은 세 물질 이미지를 합성한 것이다. 알마(ESO/NAOJ/NRAO),S. 다그넬로(NRAO) 제공 지구에서 128억 800 ...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2021.10.30
- 패턴을 새겨 프린트 할 수 있는 장비 앞에서 조영태 교수(왼쪽에서 두 번째)와 김석 교수(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연구팀과 함께 있다. 장비에 달린 4개의 카메라를 통해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남윤중 제공 ※관련기사 과학동아 11월호, [엣지 사이언스]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 ...
- 국내 연구진 중증 코로나19 감염 동물모델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10.28
- 사람과 가장 유사하게 코로나19 감염 증상을 나타낸다는 영장류 모델조차 우편향폐렴(오른쪽 폐에 염증이 더 심해진 형태를 보이는 폐렴), 발열, 이차감염 등이 나타나지 않아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다양한 소동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수성과 유전·병리학적 연구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2021.10.26
- 가운데)는 매운맛 때문에 고추를 먹지 않는다. 반면 이 지역에 사는 굽은부리쓰래셔(오른쪽)은 캡사이신의 매운맛을 못 느끼기 때문에 고추를 먹고 씨를 퍼뜨리는 공생자다.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 2013년 ‘네이처’에는 쥐의 TRPV1 구조를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TRPV1은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