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활줄
활시위
끈
행렬
열
시위
뉴스
"
현
"(으)로 총 1,64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인천힘찬종합병원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집필에 참여했다. ‘꼭 알아야 할 백신 기본상식’과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현
주소’,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흔한 질문들’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기술인 머신러닝을 반도체에 접목시켜 연구하는 ‘ML그룹’으로 이뤄져있다. 백록
현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반도체 소자를 연구하는 로직그룹은 반도체의 기본인 트랜지스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한다. 수십년간 트랜지스터는 집적도를 높이고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계란을 먹기 전에 더 굵은 쪽 끝을 깨는 것이 모두가 지키는 예법이었습니다. 그런데
현
국왕 폐하의 조부께서 오랜 관습에 따라 껍질을 깨다가 손가락을 베이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국왕 폐하께서 계란의 가는 쪽 끝을 깨야 하며 위반 시에는 엄하게 벌한다는 포고를 내리셨습니다. 백성들은 이 ... ...
[인사] 연세대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3.04
◇연세대의료원 △원목실장 겸 교목실장 김동환 △연세암병원장 금기창 △용인세브란스병원장 최동훈 △의과학연구처 연구진흥5부처장 김은경 ◇연세대 ... 원종윤 ◇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장 강훈철 △소아정형외과장 김
현
우 △소아비뇨의학과장 김상운 △소아영상의학과장 ... ...
[102주년 3.1절]독립운동에 참여한 그 시절 과학계 인사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1
요업과를 졸업한 후 조선총독부 장학생으로 일본 유학도 다녀왔다. 1924년 경성공전 동기
현
득용, 박길용 등과 함께 발명학회를 설립했다. 과학기술의 발전 없이는 근대화와 산업 발전을 이룰 수 없으리라는 생각이었다. 발명가를 양성하고 연구 기관을 설립하려 노력했다. 발명학회는 정치가 ... ...
NASA본부 흑인여성 엔지니어 '메리 잭슨 본부'로 개명…영화 '히든피겨스' 두 번째 주인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28
탐사를 발전시키기 위해 역경을 인내하는 정신을 구체화했다”이라고 말했다. 26일(
현
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미국항공우주국(NASA) 본부에서 흑인 여성 과학자 메리 잭슨을 기념하기 위해 본부명을 '메리 W. 잭슨 본부'로 명명하는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메리 잭슨의 손녀인 완다 잭슨이 연설을 ... ...
조율래 창의재단 이사장 "기관 정체성 혼란 주는 사업 정리해 역할 정립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창의재단이 중간역할을 한다고 하지만 양쪽 부처에서 원하는 것을 어떻게 넣을지
현
실적으로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며 “양쪽 모두 만족스럽지 않을 수는 있는데 그래도 연계할 기회는 창의재단을 통해 열려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 ...
후보 재공모, 후보사퇴, 노조성명까지...국가수리연 진통 끝 새 소장에 김
현
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지난 2003년 부산대 수학과 교수로 부임해 2019~2020년에 대한수학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
재 수리연 운영위원회 위원, 한국산업응용수학회 총무부회장을 맡고 있다. 김 교수의 동료 교수는 "김 신임 소장 내정자가 일 처리 능력이 뛰어나고 솔선수범해 동료들 사이에서 인망이 두텁고 어떤 보직을 ... ...
[기고] 한국 대학의 역할이 창업기지인가
2021.02.24
극명하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분야만 보더라도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
실이다. 대학이 그동안 산업의 새로운 변화에 대응할 인재를 육성하지 못한 탓이다. 미국의 애플이 AI 비서 ‘시리’를 처음 내놓은 2011년 AI의 미래가 분명했는데도 국내 대학은 과연 무엇을 했는지 돌아봐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혁신은 가능할까
2021.02.23
이들은 논문에서 ‘단위체를 만드는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 to monomer·CRM)’ 연구의
현
주소를 짚어봤다. 기존 재활용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녹여 다시 성형하는 것이라면 CRM은 해중합 반응을 통해 고분자인 중합체를 그 재료인 단위체로 바꾸는 과정이다. 폐플라스틱에서 이렇게 얻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