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스페셜
"
둘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말의 23번과 24번 염색체가 됐음이 밝혀졌다(그 반대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둘
의 염색체는 전반적으로 구조가 유지돼 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쌍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세포유전학’에 발표된 한 논문을 보면 감수분열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비교도 할 수 없는 스타였지만 하이젠베르크나 파울리 같은 다음 세대 물리학자들이
둘
의 논쟁에서 일방적으로 보어를 지지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슈뢰딩거는 보어보다 불과 2살 아래로 그가 파동역학을 발견했을 때 이미 39세였다!) 20세기 들어 물리학의 축은 영국에서 독일어권으로 넘어가고 ... ...
청소의 달인 예쁜이줄무늬꼬마새우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붙어 있는 기생충을 제거해 몸을 깨끗하게 할 수 있으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셈이다. 이
둘
의 관계처럼 청소를 통해 서로에게 이익을 주는 관계를 청소공생(cleaning symbiosis)이라 한다. 예쁜이줄무늬꼬마새우 뿐만 아니라, 해로새우와 놀래기, 망둥어도 청소공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사실을 발견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1970년대 들어 암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하나
둘
밝혀지기 시작했는데, 1978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암세포에서 과잉 발현되는 변이 src 단백질이 인산화효소(kinase)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인산화효소는 표적이 되는 단백질에 인산기를 붙여 그 단백질을 ... ...
고전역학의 기본을 정립한 천재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로버트 훅이라는 학자가 장문의 비판 글을 썼다. 뉴턴 역시 훅의 비판에 즉각 반응했고,
둘
사이의 관계는 점점 더 악화되어 다툼은 훅이 죽고 나서야 끝을 맺었다. 처음 비판 이후로 무려 31년이나 지난 후의 일이었다. 이는 과학계 전체를 볼 때 큰 손실이기도 했다. 비판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측정해 사람의 전두엽 급팽창은 허구라는 주장을 처음 제기했다. 최근 이 문제를
둘
러싼 혼란을 정리하는 논문이 발표됐다. -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제공 뒤통수 아래쪽에 있는 야구공만한 크기인 소뇌는 대뇌피질에 비해 주름이 촘촘히 나있기 때문에 뇌를 나타낸 그림에서도 쉽게 구분이 간다. ... ...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
KOITA
l
2013.06.17
올려놓을 것인가,
둘
째는 수많은 구성요소를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연결할 것인가였다.
둘
모두 이전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방법이 필요했고 킬비는 첫 번째 질문에서, 노이스는 두 번째 질문에서 출발하여 집적회로를 탄생시켰다. 킬비는 조용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집적회로 연구로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
채널A
l
2013.06.04
조심하셔야 합니다. 식중독의 주범은 대장균과 노로 바이러슨데요. 국내 연구진이 이
둘
을 백% 가까이 제거하는 은나노 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잡니다. [리포트] 여름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인 대장균입니다. 은나노 입자를 주입한 지 15분이 ... ...
“나노기술 사업화 위해서는 꾸준한 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6.02
중요합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둘
사이에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어쩡쩡한 연구를 해왔다면 이제는 사업적인 마인드를 갖춰야 합니다.” ● 송광섭 단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① 산업계가 인정할 만큼의 검증 과정 거쳐야 ② ... ...
골드바흐의 추측, ‘약하게’ 증명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오일러가 정리한 첫 번째 명제를 가리킨다. 오일러가 골드바흐의 원래 명제를 굳이
둘
로 쪼갠 건 짝수에 대한 명제가 이를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골드바흐의 추측은 사실이라고 믿고 있다. 수가 커질수록 두 소수 합의 조합의 수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