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제노포’가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있다. USB
크기
만 한 옥스퍼드 나노포어의 유전자 해독장치 ‘미니온’이 읽어낸 데이터를 분석해 30분 만에 코로나바이러스 염기서열을 해독한다. 가번의학연구소 제공 속도는 빨라도 정확도는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 ...
안전성·최고 효율 모두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위해 페로브스카이트를 구성하는 이온의 종류와 비율을 바꿔 내부 결함을 줄였다. 이온
크기
가 작은 세슘을 첨가해 메틸렌디암모늄 때문에 생긴 구조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큰 바위 때문에 생긴 뒤틀림을 해결하기 위해 벽돌을 추가로 넣어 교정한 것과 비슷하다. 그 결과 비틀린 건물을 교정한 ... ...
달은 거대한 충돌로 생겨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1
형성됐을 것이라는 '거대충돌설'의 상상도. NASA 제공 달은 약 44억 년 전 원시 지구에 화성
크기
의 천체 ‘테이아(Theia)’가 충돌하면서 부스러기가 생겼고, 이런 부스러기들이 지구 주위를 돌다가 뭉쳐지면서 만들어졌다. 달의 탄생을 설명하는 ‘거대충돌설(Giant impact theory)’이다. ○ 아폴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지구 거리에 육박했을 것으로 보인다(위). 태양과 지구, WD 1856+534, 목성
크기
행성의
크기
를 비교했다(아래). 네이처 제공 그렇다면 1856b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 얼핏 생각하면 표면 온도가 4710K나 되는 백색왜성 바로 옆에 있으므로 엄청난 고온일 것 같지만 백색왜성이 워낙 작아 복사열도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이번 연구에서 발견한 호수는 면적이 약 7만5000㎢에 달한다. 독일 면적의 5분의 1
크기
다. 중앙의 가장 큰 호수의 폭은 약 30km이며 주변의 작은 호수 3곳은 폭이 수km로 추정됐다. 화성 표면에서는 대기 물질이 부족하고 기압이 낮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형성된 불투수층 면적은 58만 제곱킬로미터에 이른다. 프랑스 전체 면적보다 조금 작은
크기
다. 류 교수는 “특히 대도시는 삼각주 등 탄소가 풍부한 비옥한 곳에 건설됐다”며 “도시 건설 정책이나 탄소 정책 수립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개발 등으로 심토층 유기탄소를 ... ...
[프리미엄 리포트] 푸드파이터의 폭풍흡입, 훈련하면 늘까
과학동아
l
2020.09.26
수 있는 잠재적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2007년 네이선 핫도그 먹기 대회 선수들의 위
크기
변화를 형광 투시 기법으로 관찰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연구팀 역시 “폭식이 반복될 경우 포만감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진다”며 “(폭식을 반복하면) 체중 조절의 의지가 약해지는 중년기에 비만이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강력한 턱으로 바다 속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다. 대표적 판피어류로 중형 버스만한
크기
의 거대한 ‘둔클레오스테우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시와 교육키트가 등장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둔클레오스테우스 체험 모형을 제작해 대전 유성구 지자연 본원에 위치한 지질박물관에 ... ...
오늘 저녁 8시 12분, 통학버스만한 소행성이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크기
가 너무 작아 아예 모르고 지나간 경우도 있다. 올해 8월 16일 폭이 3~6m로
크기
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정도인 소행성 '2020 QG'가 인도양 상공에서 불과 약 3000km 지점을 관통했지만, 이 소행성이 지나가고 나서야 뒤늦게 지구에 근접했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NASA 제공 NASA는 우주 공간에 ... ...
23일 새벽 떨어진 별똥별 정체는 두 차례 폭발한 '파이어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대기와 마찰하며 온도가 오르다 폭발하는 것으로 흔한 현상이다. 천문연은 “유성체의
크기
와 폭발 에너지 추정은 어렵지만 흔히 관측되는 형태와 밝기의 화구”라며 “이번 유성의 지구 위협의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천문연은 현재 구축중인 유성체감시네트워크 중 대전과학고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