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17년 정유년이 밝았다. 중국과 아시아 등의 한자문화권에서 발달한 ‘십간 십이지’에 따르면, ‘정’은 빨간색이고 ‘유’는 닭을 뜻한다. 올해는 일 갑자(60년)에 한 번 찾아오는 붉은 닭의 해다. 동양 사람들은 옛적부터 붉은 닭을 특별히 여겼다. 미래를 내다보듯 제 시간에 우는 습성은 진리에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송준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자료를 찾던 중 그의 이력에 눈이 갔다. 송 교수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8년 6개월 정도를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교수로 지냈다. 일리노이대는 도시환경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학교다. 그 좋은 자리를 마다하고 그가 서울대에 부임 ... ...
- [새 책] “ 나, 리처드 도킨스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요즘 나는 다재다능한 아내 랄라가 직접 도안한 동물 무늬로 손수 그림을 그린 넥타이만 맨다. 소재는 다양하다. 펭귄, 얼룩말, 임팔라, 카멜레온, 주홍따오기, 아르마딜로, 잎벌레, 대만구름표범, 그리고…혹멧돼지.”(2권, 138쪽)그의 인생을 요약해서 볼 요량으로 위키백과의 리처드 도킨스 항 ... ...
- Part 1. 사람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사람은 동력기관!자동차와 비행기는 동력장치를 이용해 달리는 대표적인 동력기관이에요.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태워 에너지를 얻죠. 최근엔 태양이나 전기, 수소 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에너지원을 써서 움직인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어요.그런데 사람도 동력기관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종은 늘고, 규모는 커지고!“1년 동안 비가 와도 폭염 주의보가 내려도 언제나 탐사를 하러 밖으로 나갔어요. 힘들었지만 이렇게 좋은 결과가 나와서 무척 좋아요.”6종 탐사를 모두 수료한 닥터구리 팀의 유다은 대원이 소감을 발표하자 뜨거운 박수가 쏟아졌어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전국에서 ... ...
- [도전! 코드 마스터] 사이버테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이럴 수가! 수호를 통해 정보가 빠져나가고 있었어요. 루팡이 심은 ‘악성코드’ 탓이지요. 그런데 이런 일이 실제로도 일어나고 있답니다.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보통 네트워크에 연결돼 있어요. 그래서 컴퓨터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컴퓨터 하나만의 문제로 끝나지않아요. 이 코 ...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최대 6일 동안 똥을 모아라!스페이스 풉 챌린지는 우주를 뜻하는 ‘스페이스’와 똥오줌 등의 배설물을 이르는 ‘풉’, 그리고 도전을 의미하는 ‘챌린지’를 합친 말이에요. 말 그대로 우주인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모집하는 대회지요. 12월 20일까지 아이디어를 모집해, 그 중 가장 뛰어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흐르지 않는 전기, 정전기!정전기는 전하가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전기를 말해요. 정전기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마찰’ 때문이에요. 보통 물질을 이루고 있는 원자는 (+)전하를 띠는 양성자의 수와 (-)전하를 띠는 전자의 수가 같아요. 두 전하가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기를 띠지 않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갖다 주는 것도 내 몫이야. 우주에서 돌아다니려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는데…. 으악, 태양 전지판이 찢어져 있네?! 태양 에너지를 못 쓰면 우주에서는 도대체 어떻게 돌아다니지?달 표면 탐사도 내 힘으로! 인간동력 로보발전소가 없는 우 ...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친구들은 새의 조상이 어떤 동물인지 알고 있나요? 아마 대부분 시조새로 알고 있을거예요. 그런데 지난 20여 년 전, 새의 진짜 조상은 공룡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었어요. 공룡은 어떻게 새의 조상 후보가 된 걸까요?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깃털공룡 전문가인 중국의 쉬 싱 박사님을 직접 ... ...
이전6366376386396406416426436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