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빙하를 직접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0m의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마을이에요. 겨울 온도가 영하 30℃나 되는데 연간 강수량은 100mm에 불과하답니다. 이 마을 사람들이 유일하게 물을 얻을 수 있는 곳은 빙하예요.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됐어요. 그 결과, 봄에는 심각한 가뭄을 겪고, 여름에는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 사이에 작은 점처럼 보이는 것도 있을 텐데 그것이 바로 저희의 눈이지요. 크기는 1mm 정도이고, 가리비 한 마리 당 약 200개의 눈을 갖고 있답니다. 눈을 이용해 주변의 포식자를 확인하고, 다른 곳으로 잽싸게 도망가지요. 저희에게 눈이 있다는 사실은 200여 년 전부터 알려져 있었어요. 하지만 그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고작이었지요. 이후 30년이 지나서야 두 다리로 자연스럽게 걷는 로봇인 ‘아시모’가 만들어졌답니다. 로봇이 걷는 것도 어려운데, 스키는 어떻게 타는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2.9배이고, 중심별을 동심원 궤도로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행성의 공전 주기는 약 13일로 지구(36 ...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편파면이 회전하는 현상으로, 자기장이 셀수록 회전율이 높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FRB121102의 신호가 자기장이 강하고 온도가 높은 중성자별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헤셀스 교수는 “파열음의 발생 원인을 둘러싼 여러 이론 가운데 일부를 제외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셈”이라고 ... ...
- [이달의 사물] 윷가락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면만 보이는데, 납작한 면의 개수에 따라 도, 개, 걸, 윷, 모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말이 1칸에서 5칸까지 움직입니다. 윷놀이에서 승리하는 ‘비법’을 살짝 소개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상대방의 말을 잡는 것입니다. 경험적으로는 상대편 말이 두 칸 차이가 날 때 쉽게 잡힙니다. 두 번째는 다섯 ... ...
- [과학뉴스] 독감 바이러스, 변신 지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계절성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의 면역계를 피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해진다. 자연적으로는 ...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플로스 병리학(PLOS Pathogens)’ 1월 18일자에 실렸다. doi:10.1371/ ...
- [과학뉴스]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름진 서구 식단이 몸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방이 21.2%를 차지하는 서구 식단을 한 달간 먹인 쥐와 지방 14%, 단백질이 25%인 식단을 먹인 쥐의 혈액 성분을 비교했다. 그 결과 서구 식단을 먹은 쥐의 혈액에서 과립구와 ...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스로 전기를 내는 전기뱀장어를 모방한 마이크로 크기의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가 개발됐다. 전기뱀장어는 전기발생세포(electrocyte)가 생체 내 이온의 농도 ... 나노로봇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에너지’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됐다. doi : 10.10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이전6366376386396406416426436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