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악랄한 해적이라고 해도 말이죠.”도형의 말에 공주는 고개를 끄덕인다.“왜 보물이
필요
한지는 묻지 않는 거야?”“저기 계신 우리 선생님께서 그러셨거든요. 숙녀의 비밀은 지켜줘야 한다고, 그게 남자가 해야 할 일이라고요.”하디시 공주가 허풍을 바라보자 허풍은 찡긋 윙크하며 포도주잔을 ... ...
연산 정복하기 ②!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구하라고 했는지를 끝까지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집중력도
필요
하죠. 함정으로 파놓은,
필요
없는 정보에 낚이지 말고 숨겨진 x의 조건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문제를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이매중 학생들의 생생 노하우이매중에서 곽정원 선생님과 함께 만난 8명의 3학년 학생들은 너 나 ... ...
전통으로 빚어내는 꿀맛! 한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런데 사람들은 한과가 종류도 적고 명절 때나 먹는 과자로 알고 있어서 많은 홍보가
필요
해요.달고 맛있는데, 설탕이 안 들어가는 것도 신기해요.한과에 단맛을 내는 조청은 고구마나 곡식으로 만들어요. 그 안에 들어 있는 탄수화물이 효소에 분해되어 단맛을 내는 당이 되지요. 게다가 단맛이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즉 주사위를 이용한다면 말판의 경로가 6번째 칸에서 교차점이 나타나도록 수정할
필요
가 있다. 이렇게 하면 모든 교차점까지 1개 또는 2개의 지점이 더 생기게 된다. 새로운 윷놀이가 만들어지는 셈이다.그런데 2개의 윷으로도 윷놀이를 할 수 있을까? 역시 같은 방법으로 지점의 개수를 2개씩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소개하고 주로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이므로 다음에 주어지는 모든 식을 이해하려고 할
필요
는 없다. 왜? 원래 오일러 수는 어려우니까.먼저 앞에서 예로 들었던 베르누이의 복리문제에서 전체기간을 n등분한 경우, 마지막에 받는 전체 금액은 (1+1n)n이 된다. 따라서 전체기간을 n으로 무한히 나누고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구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정확한 양으로 뿌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
하다. 현재 쓰는 구름 입자 생성기는 실험실 수준이지만 지구공학에 사용하려면 규모가 더 커져야 한다.미국 기상연구대학연합의 존 라뎀 박사는 2008년 영국 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철학회보’에서 “구름의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이다. 세포처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영양을 섭취할
필요
도, 호흡 할
필요
도 없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가운데서도 가장 단순하고 작은 피코나바이러스과(科)에 속한다. 4가지 단백질이 각각 60개, 즉 240개의 단백질이 불과 8500여 개 염기로 이뤄진 게놈(30억 개인 인간 게놈의 40만 분의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표면의 단백질들은 바이러스가 달라붙으라고 있는 건 아니다. 세포나 개체 차원에서
필요
하니까 존재하는 것이다. 세포 표면이 매끄럽게 진화한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는 않겠지만 그래서는 세포가 모인 개체의 생존이 불가능하다.국립수의과학검역원 박종현 수의연구관은 “구제역바이러스는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마치 방금 뽑아낸 것처럼 쫄깃쫄깃하다. 떡을 보관했다가 다시 먹을 때 찌거나 데울
필요
가 전혀 없다는 뜻이다.떡 굳는 이유는 전분이 ‘늙기 때문’떡집에서 팔고 있는 떡은 대부분 ‘오늘 아침’에 만든 것이다. 떡은 만든 지 5시간 정도만 지나도 굳으면서 맛이 떨어진다. 대형마트에서는 일정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리 애벌레는 뽕잎이나 참나무 잎 같은 식물을 먹는다. 고기를 먹지 않고도 살아가는 데
필요
한 모든 단백질을 잎에서 얻는다. 애벌레는 식물 섬유소를 분해하는 효소(셀룰라아제)를 분비하거나 자기 몸속에서 살아가는 균의 도움을 받아(공생균) 섬유소를 소화시킨다. 다른 동물들이 소화하지 ... ...
이전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