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않았나 추정한다. 13세기 마르코 폴로도 동방견문록에서 한국을 섬나라로 묘사했다.1
7
세기 들어 섬에서 반도로 한국이 섬에서 반도로 인식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1655년 이탈리아 선교사 마르티니가 중국을 다녀온 후 중국지도첩을 만들었다. 이 지도첩 속에 한국이 길쭉한 반도의 모습으로 그려져 ... ...
고양이 복제, 세계 2번째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8마리에 이식한 결과 대리모 4마리에서 6마리의 복제 고양이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7
월 28일부터 10일간에 걸쳐 태어난 6마리 가운데 1마리는 출산과정에서 숨졌으나 나머지 5마리는 건강한 상태다 ... ...
② 금메달 제조기 '스포츠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구팀이 실제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결과 이 추를 이용하면 3m를 뛸 때 약 1
7
cm를 더 뛸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추 한개의 무개는 3kg이 가장 적당했으며 추가 더 무거우면 뛰는 거리가 오히려 줄어들었다.미네티 박사는 “추를 흔들면 팔에서 더 많은 근육이 움직여 힘이 많이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
7
년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가을 초저녁에 북쪽 하늘 높이 엷게 내(川)를 이루는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2h 25m, 적위 十43°이다백조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 중간쯤에 있으며 모든 별이 4등성 ... ...
5. 검색능력이 경쟁력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한번에 한가지 일만 처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의식이 기억하는 항목수도 기껏해야
7
개 안팎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모니터 너머 사이버 공간이 쏟아내는 정보량은 넘쳐나기 십상이고, 이를 처리하다 보면 주의나 기억용량에 무리가 따른다.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먼저 파악해야종종 정보 검색을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튼 인물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그 단상의 중앙 상단에 원형 안에 북두칠성으로 보이는
7
개의 점이 찍혀있다. 이 단의 좌우에는 두 마리의 호랑이가 이를 지키고 있고 그 오른편에는 절하는 남녀가 묘사돼 있다.따라서 이 그림은 어떤 종교적 기원을 표현하는 장면일 것이라고 김 박사는 풀이한다. ... ...
실시간 수족관 e-Quarium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결해 어디에서라도 해양 동물을 볼 수 있다. 미국 시간으로 오전
7
시에서 오후
7
시(한국 시간 0시-12시)에는 실시간 동영상을, 이외의 시간에는 녹화된 동영상을 볼 수 있다.수족관 전시실에서는 다양한 해양 동물을 만날 수 있다. 처음보는 동물 같은 경우는 생물종 목록을 이용하면 사진과 설명을 ... ...
여드름균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아크네스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 2천3백33개의 유전자가 있음을 밝혀냈다고 ‘사이언스’
7
월 30일자에 보고했다.여드름은 피지의 분비가 왕성해지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에 많이 생긴다. 과잉의 피지가 모공을 막아 여드름균이 증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여드름균이 내놓은 ... ...
'23번째 門' 박테리아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인정한다고 최근 인터넷(ijs.sgmjournals.org)을 통해 발표했다.생물은 ‘종속과목강문계’ 의
7
단계로 분류되는데 뒤쪽으로 갈수록 상위단계다. 한국 과학자가 종이나 속 단위의 미생물을 발견한 적은 있지만 문에 해당하는 큰 계통학적 가지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조 박사는 2003년 태평양 연안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성장을 적절히 억제하는 단백질인 마이어스태틴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것.
7
년 전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원들이 쥐의 세포에서 마이어스태틴 유전자를 변형시킴으로써 ‘슈퍼마우스’ 를 만든 적이 있었는데, 인간에게서 동일 유전자가 비슷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이 임상적으로 ... ...
이전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