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걸음걸이 인식 기술은 범죄자를 찾는 데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실제로 지난해 4월 대구에서는 걸음걸이로 살인사건의 범인을 검거하는 데 성공했어요. O자 다리에 걸을 때 왼쪽 다리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오는 특징으로 범인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었지요.현재 과학자들은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안지환 박사님의 ‘Better life for girls’ 강연을 들었습니다. 인도 소녀들은 월경할 때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이 부끄러워 집에 머문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교 공부를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 못하게 된다고 들었습니다.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고, 도울 방법을 찾고 싶었습니다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월 3일부터 5일까지 2016년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차례로 발표됐어요. 올해 노벨과학상은 세 분야 모두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은 ‘미시세계’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밝혀낸 과학자들이 수상자로 선정됐답니다. 우선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의 ‘자가포식’ 현상을 ... ...
- [현장취재] 국립수목원에 사는 9가지 귀화식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올해 지구사랑 탐사대 현장교육은 끝이 났어요. 이제 4기 수료식만을 남겨 두고 있지요. 11월까지 귀화식물뿐만 아니라 꿀벌과 밀원식물, 노래곤충 탐사가 가능해요. 모두 수료식에서 만나길 기대합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경주시 아래쪽에 있는 ‘양산단층대’의 단층이 움직여서 일어난 지진이었지요. 9월 12일 발생한 뒤, 약 2주가 지난 9월 말까지도 450회가 넘는 여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요. 지진은 어떻게 일어나고, 또 어떻게 지상까지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지구는 서로 다른 물질들이 겹겹이 쌓인 구조로 ... ...
- [과학뉴스] 수고했어, 로제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016년 9월 30일(한국 시간),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12년이 넘는 긴 여행을 모두 마치고 임무를 종료했어요. 로제타는 지난 2004년 3월, 유럽우주국이 쏘아올린 탐사선으로, 65억km의 먼 거리를 10년 동안 날아서 2014년에 67P 혜성에 도착했어요. 도착 직후 무인탐사로봇 ‘필래’를 67P 혜성 표면에 내려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서식굴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엄청난 크기일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그리고 작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서식굴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어요. 우리나라 갯벌 10곳에서 사는 대표적인 생물 21종의 서식굴의 본을 뜨는 데 성공했지요.서식굴의 본을 뜨려면 우선 플라스틱을 녹여 액체로 만든 액상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와르셀 교수(왼쪽부터). 이들은 이 공로로 2013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존 포플 교수와 월터 콘 교수는 이렇게 만든 ‘가우시안’이라는 프로그램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기가 작은 분자만 다룰 수 있지만, 지금도 쓰이고 있지요.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빙글빙글 소용돌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섭섭박사님은 중대한 결심을 했답니다.“그래! 소용돌이를 직접 만드는 거야!”올해 6월, 중국 장쑤성엔 강력한 토네이도가 휘몰아쳤어요. 그 결과 100명 가까운 사람들이 죽고, 840여 명의 사람들이 다쳤지요. 당시 토네이도의 풍속은 초속 60m 정도였어요. 이는 건물의 벽이 뜯겨져 나가고 자동차가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사람들은 저를 그저 가재와 쏙을 닮은 작은 갯벌 생물이라고 기억했어요. 하지만 올해 8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구본주 연구원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저는 단숨에 갯벌 건축왕 후보가 됐답니다.제가 지은 서식굴은 최대 2m 깊이로, 굴의 전체 길이가 평균 8.6m에 달해요. 굴의 부피는 최대 18L ... ...
이전639640641642643644645646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