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무엇을 전하겠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어요.원자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1766년 9월 6일에 태어난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이에요. 돌턴은 두 원소가 결합할때 일정한 질량 비율을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그는 이런 규칙이 성립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연구해 1803년 ‘원자설’을 발표했지요 ... ...
- [과학뉴스] 요다 닮은 박쥐, 새로운 종으로 인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2009년, 국제 보존 협회 신속 평가 프로그램의 과학자들이 파푸아뉴기니의 열대우림에서 영화 ‘스타워즈’의 ‘요다’를 닮은 박쥐를 발견했어요. 이 박쥐는 요다처럼 귀가 위로 삐죽 서 있고 입이 약간 튀어나왔으며, 눈도 옆으로 길게 찢어진 생김새를 하고 있어요. 둘둘 만 종이를 양쪽에 꽂아 ... ...
- [공룡은 왜?] 휘두르기만 해도 티라노가 깜짝? 안킬로사우루스의 꼬리 곤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위해 꼬리를 빳빳하게 세워 균형을 잡았답니다. 중생대 백악기 전기인 1억 260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유타랍토르도 뻣뻣하고 긴 꼬리를 갖고 있었어요. 그리고 이 꼬리는 사냥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요. 유타랍토르는 ‘유타의 약탈자’라는 뜻을 갖고 있을 만큼, 날렵하게 공룡들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어요. 심지어 과학자들은 멸종된 것으로 추측하기도 했지요. 2000년대 이후 조금씩 발견되고 있지만, 여전히 뿔제비갈매기의 번식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에 단 5곳뿐이에요. 뿔제비갈매기가 지구상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세요 ...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줄이 끊어지면 엘리베이터가 추락하기 때문에 한편으론 매우 위험했지요. 그러던 중 1854년 미국 뉴욕에서 새로운 엘리베이터가 공개됐어요. 기계공이었던 엘리사 오티스가 비상 정지 장치가 달린 엘리베이터를 세계 최초로 만든 거예요. 엘리베이터 줄이 끊어지면 철로 된 두 개의 톱니가 양쪽의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로켓을 대체할 우주 엘리베이터지난 2012년 일본 건설회사인 오바야시구미는 2050년까지 우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이들은 한 번에 30명씩 우주 엘리베이터에 태워 고도 3만 6000km까지 올려 보낼 계획을 하고 있지요. 현재 우주로 가기 위해서는 로켓을 쏘아올려야 해요. ... ...
- [현장취재②] 기상천외 메이커, 메이와덴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전기용품을 제작하는 회사였어요. “메이와덴키는 1960년대에 저희 아버지가 만든 회사예요. 아버지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담아 지금도 그 이름을 계속 쓰면서 당시 만든 공장에서 메이커 제품들을 제작하고 있지요.” 1일 워크숍에서 토사 사장은 메이와덴키의 ... ...
- 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되는데, 이런 엄청난 무게는 권상기로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거든요. 이 가운데 지난 2015년, 티센크루프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엘리베이터 ‘멀티(MULTI)’를 발표했어요. 바로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없앤 거예요. 대신 자기부상열차 기술을 활용했지요. 그리고 지난 2017년 6월 드디어 시제품이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방법을 ‘생물학적 방제’라고 해요. 왕모기를 이용해 다른 모기를 죽이는 방법은 1929년 하와이에서 시작됐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5년 딱정벌레목 곤충인 ‘잔물땡땡이’를 이용해 모기 유충을 없애는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지요.연구팀은 “광릉왕모기 유충은 서식처를 공유하는 모기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설명하기는 어려워요. 여러 가지 요인이 더해져 올해 북한산에 나타난 하늘소의 수가 예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답니다. 도심지의 불빛을 보고 날아온 하늘소올 여름 하늘소가 더욱 화제가 된 이유는 서울 도심지까지 많은 수가 날아왔기 때문이에요. 하늘소가 도심지에 나타난 7월 말, ... ...
이전6406416426436446456466476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