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마 만드는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이런 돌연변이가 나왔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지네틱스’ 7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했다. 앤더슨 교수는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털 색깔을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성장을 촉진해 멜라닌 세포의 줄기세포가 일찍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 ...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음식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발표
했고, 이듬해에는 빛과 열에 의해 생기는 변색의 본질적 차이에 관한 발견을
발표
했다그러나 제정 러시아의 문교장관에게 반항한 탓으로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군에 징집되어 기술부대에서 복무했다 림프샘 · 비장 · 골수 등의 세망조직계통 간, 골수, 부신, 뇌하수체의 세(細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칼 라크 교수팀은 무려 148가지 품종의 개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유전학’ 6월호에
발표
했다. 연구자들은 몸 크기나 털 길이 같은 외형 뿐 아니라 성격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후보도 찾아냈다. 이에 따르면 몸 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앞서 IGF1 뿐 아니라 SMAD2, NPR2 등 여럿이 더 ... ...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주변에 눈이 쌓인 면적이 넓으면 두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고 미국기상학회보에
발표
했다. 넓게 쌓인 눈이 햇빛을 많이 반사할 뿐 아니라 봄을 지나며 눈이 녹으면 증발량이 늘어 여름 장마전선을 강하게 만든다는 주장이다. 겨울에 적도 동태평양의 해수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엘니뇨)이 발생하면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먹이를 먹을 때 부리 끝의 물방울을 표면장력을 이용해 목구멍까지 이동시킨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깝작도요는 물 위를 뱅글뱅글 돌면서 초당 1.5회라는 빠른 속도로 물 위를 찍듯이 부리를 반복적으로 담그는 행동을 한다. 물을 휘저어 바닥에 있는 작은 갑각류 같은 먹이를 떠오르게 한 뒤 부리로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가지만 어떤 사람들은 시끄러운 소음이라고 한다. 필자는 2007년 5월 한국음향학회지에
발표
한 논문에서 남녀 고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매미소리의 크기에 따른 심리변화를 검사했다. 실험참가자들은 매미소리가 63~67dB(데시벨, 소리의 크기 나타내는 단위)로 커지자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 ...
산소 같은 학문, 수학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6월에도 홍 교수와 함께 끈이론을 이용해 측지곡면에 관한 논문을 ‘피지컬 리뷰 D’에
발표
했다.조 소장은 “수학은 어느 연구 분야에나 도움을 주는 산소 같은 학문”이라며 “수학과 다른 학문의 만남은 앞으로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수학으로 석유 묻힌 곳 찾는다?요즘 ... ...
화성에 물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오디세이’가 찍은 열적외선 사진을 통해 소금 등의 염화퇴적물을 발견했다고
발표
했어요. 오른쪽 동그란 사진에서 파란색 부분이 바로 염화퇴적물이 있는 곳이랍니다.지구에서는 보통 물이 증발하면서 그 속에 녹아 있던 염화물질이 쌓여 염화퇴적물이 만들어져요. 따라서 화성에도 과거에 물이 ... ...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게오마르 연구소가
발표
한 이곳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추정매장량은 1000~1200억t으로 현재
발표
된 우리나라 동해 매장량의 수백 배에 이른다.우리 연구팀은 2005년 탐사에서 수심 700m 지점에서 두께 40cm의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이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채취했다. 또 수심 385m 지점에서도 채취했는데, ... ...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느는 장면을 촬영하는데 성공해 지난 6월 25일 신경과학분야 국제저널인 ‘뉴런’에
발표
했다. 위트만 교수는 “새로운 경험을 회피하지 않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면 이득을 얻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도파민은 뇌에서 신경을 전달하는데 관여하는 생체물질이다. 뇌에서 도파민의 분비량이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