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구별은 이미 기원전 350년경,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에서 명확하게
기술
돼 있을 만큼 자명하다. 과학적으로는 19세기에 독일의 생리학자 요하네스 뮐러가 ‘특정 신경 에너지 이론’에서 다섯 가지 감각 경험의 질적 차이를 설명했다.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인간과 동물의 뇌에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조지훈의 시 ‘승무’를 보면 한국인들이 날개를 접고 있는 나비에서 순수한 아름다움의 상징을 찾았음을 알 수 있다. 우리 속담에 ‘나비가 꽃을 희롱한다’는 말도 있고, 꽃 위에서 어른대는 두 마리의 나비를 보면서 남녀 간의 사랑 놀음을 상상하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두기 때문에 열매를 탐스럽게 만드는 데 소홀하다”고 설명했다.이 때문에 농업과학
기술
원에서는 논토양 1kg당 유기물 함량이 30g을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질소성분이 담긴 비료를 적당량 살포하도록 하는 것. 김이열 박사는 “현재 우리나라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토양 1kg당 22g 수준”이라며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기자와 만나 “우주를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지만 러시아의 우주
기술
을 많이 배워왔다”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달 탐사 계획에 그동안 배운 지식과 경험을 최대한 쏟아 놓겠다”고 포부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6월 중순 ‘한국 최초 우주인 ... ...
컴퓨터에서 탄소나노튜브 실험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nm=10억분의 1m)의 대롱형태 튜브를 발견한 뒤 탄소나노튜브는 현재 분야를 넘나들며 나노
기술
의 총아로 각광받고 있다. 결함 부위에선 양자역학적 효과 고려해그런데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팔방미인’이 되기까지 과학자들은 꽤나 골머리를 앓았다. 크기가 너무 작아 탄소나노튜브로 직접 ... ...
청소년 가려내는 담배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청소년들이 자동판매기에서 담배를 살 수 없게 만드는
기술
이 개발됐다. 지난 5월 12일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사이언티스트’는 구매자의 얼굴을 인식해 나 ... “이 자동판매기는 다른 사람의 스마트카드를 빌려 담배를 사는 일도 막을 수 있다”며 얼굴 인식
기술
의 유용함을 강조했다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천구의 별자리 배치를 알 수 있다fcc→bcc(bct) 마텐자이트 변태의 원자 이동 과정을
기술
하는 모델의 하나 이 모델은 별명을 2중전단기구(二重剪斷機構, double shear mechanism)라고도 하며 베인(Bain)대응을 충족시키는 fcc→bcc 변태 변형을 전단 변형의 조합으로 설명한 것이며 [그림]에 제시한 톰프슨 테트라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변형 프리온이 환자의 혈액에 1000조 분의 1g 수준으로 돌아다닌다는 뜻”이라며 “아직
기술
적으로 1000억 분의 1g 정도 이하는 검출할 능력이 없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우 교수팀은 변형 프리온의 미세한 양을 증폭시켜 현재의 검출 한계를 극복하려고 연구 중이다. 변형 프리온이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국제학술지에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규원 단장은 2003년 제 1회 대한민국 최고과학
기술
인상을 받았고, 2005년에는‘한국의 노벨상’이라고 일컫는 호암상을 수상했다. 뇌혈관분야라는 한 우물을 20년 동안 판 덕분에 거둔 쾌거인 셈이다. Interview 김규원 교수통합적 사고가 아이디어 원천김 ... ...
6000년 전 고인돌 시대에도 애완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마리의 뼈를 찾아 냈어요. 그리고 이 개가 언제 살았는지를‘*탄소연대측정법’이라는
기술
로 알아 냈지요.그 결과 이번에 조사한 뼈는 지금부터 최소한 6300년 전에 살았던 개의 뼈로 밝혀졌어요. 또 뼈의 모양과 크기로 보아 야생의 개가 아니라 집에서 길렀던 개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지요. 이 ... ...
이전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