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각 장애인 돕는 ‘스마트 지팡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갖고 있어요. 앞에서 아는 사람이 다가오면 저장된 사진과 비교해 시각 장애인이 아는 사람이 있는 방향으로 걸어갈 수 있도록 안내해 줄 수도 있지요.연구팀은 스마트 지팡이를 더 실용적으로 만들기 위해 실제로 스마트 지팡이를 사용하게 될 시각 장애인들의 의견을 반영하기로 했어요. 영국의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때도 김서림 걱정 없는 안경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찜질방에 들어갈 때 등 안경을 쓴 사람이라면 시야가 뿌옇게 된 경험을 했을 거예요. 김이 서리기 때문이지요. 김은 수증기가 낮은 온도의 공기와 만나면서 아주 작은 물방울로 변한 것을 말해요. 즉, 렌즈에 작은 물방울들이 달라붙어 안경이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출판될 것으로 보인다. 수학자 출신인 세계적인 갑부 제임스 사이먼스가 가장 부러운 사람으로 타오 교수를 꼽을 만큼 현재 그는 세계 최고의 수학자다. 현대 수학에서는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한 수학자가 없는데, 그는 폭넓게 수학 연구를 하고 있다. 타오 교수의 다음 연구 결과가 어떤 것인지 ...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좋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래서 실제 블록과 디지털 기기를 잇는 인터페이스(사물과 사람 사이에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만든 매개체) 인 모블로가 태어났다.책상 위에 쌓은 블록이 컴퓨터 화면 속에?모블로는 블록판과 다양한 기능을 하는 블록, 보드게임에서 쓰는 말과 카드로 이뤄져 있다. ...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다이아몬드예요.우선 다함께 1단계 게임을 만들었어요. 먼저 ‘게임 시작’, ‘만든 사람’, ‘처음으로’라는 세 가지 버튼을 만들었어요. 다음으로 토끼의 x, y 좌푯값과 이동속도를 설정하고 마우스를 따라 움직이도록 만들었습니다. 다음으로 토끼의 적인 거미가 토끼를 쫓아오도록 설정하고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Curiosity |github.com/luismartinnuez/OpenCuriosity화성탐사의 목적은 액체상태의 물을 찾는 것이다. 사람을 비롯한 생명체가 살아가려면 물이 필수다. 우물을 찾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2000년대 초반, 화성 탐사위성 ‘마스익스프레스’의 지하 레이더 탐사를 통해 화성의 남극지역에서 얼음의 흔적이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씀) 엄청나게 큰[인상적인]eater [명사] (보통 형용사나 명사 뒤에 쓰여) …을[…하게] 먹는 사람[동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직접적인 증거”라고 논평했다. 10월 12일 부산 기장군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기자는 사람 키보다 높은 수조에 올라섰다가 그 안에 있는 생명체를 보고 깜짝 놀랐다. “허허, 횟집에서 보던 넙치와는 차원이 다르죠? 육종 기술로 개발한 킹넙치입니다.” 기자를 안내하던 박진일 연구협력과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해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담은 도구적 도움을 받은 사람보다 정서적 도움을 받은 사람들이 더 ‘많은 정보를 얻었고 많은 도움을 얻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오지라퍼들은 도움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면 “내가 그렇게 많이 도와줬는데”라며 서운해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도움을 줄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는 미생물 샘플도 수집했다. 전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같은 장소에 있었던 사람끼리 공유하는 미생물을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과연 언제쯤 ‘미생물 수사’가 현실로 다가올까. 아직까지 e메일도 법적인 증거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생물 수사가 가까운 시일 ... ...
이전6436446456466476486496506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