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08
잠수정을 이용해 살아있는 대왕오징어를 찾으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다가 2004년 9
월
에 일본 과학자들이 수심 900m에서 길이 8m의 살아있는 대왕오징어 사진을 찍는데 최초로 성공했다. 바다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고 깊으며 우리가 바다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은 빙산의 일각이다. 그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08
전체를 대표하지 못하는 표본을 모은다면 ‘표본 선택 편의’라는 오류에 빠진다.지난 7
월
4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기상 악화로 발사를 두 차례 연기한 가운데 연료탱크에서 단열재 균열을 발견했지만 문제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이날 발사를 ... ...
시간의 흐름 속에 탄생한 생명의 신비를 느끼자
과학동아
l
200608
느껴진다. 이곳은 국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만든 최초의 자연사박물관으로 2003년 7
월
문을 연 이래 연간 약 25만 명이 찾아오고 있다. 이제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크고 작은 생물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자연사박물관하면 많은 사람들이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한의학자. 1613년 총 25권에 이르는 동양 최고의 의서 ‘동의보감’ 을 완성한다. 오랜 세
월
의 연구와 치료 경험, 의학에 대한 열정으로 만든 동의보감은 조선과 중국의 모든 의학 전통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까지 한의학의 처방전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백성들이 가정에서 쉽게 치료를 할 수 있도록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08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
월
'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이다함교(bridgefin)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밖에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08
지난 7
월
5일 하루 동안 북한은 미사일 7기를 잇따라 발사했다. 이 중 6기는 스커드 미사일(화성 미사일)이나 노동 미사일처럼 단·중거리 미사일이다. 스커드 미사일은 사거리가 300~500km고 노동 미사일은 1350~1500km다. 나머지 하나는 장거리 탄도미사일인 대포동 2호(백두산 미사일)로 발사 직후 이상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08
‘솔빈강’이다. 지금은 러시아식 명칭인 ‘라즈돌리나야강’으로 불리고 있다.지난해 7
월
취재팀은 솔빈강을 따라 북서쪽으로 중국 국경을 향했다.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발굴하는 발해 유적지인 ‘체르냐치노 산성’에 가는 길이었다.4 년째 공동묘지 발굴 중2003년부터 한국전통문화학교 ... ...
우주 떠도는 해골 유령
과학동아
l
200608
등장하는 영화를 잇달아 개봉하고 있다. 놀랍게 우주를 떠도는 유령도 있다. 지난해 12
월
유럽남반구천문대(ESO)는 국내에서 보기 힘든 별자리인 고물자리에서 떠돌고 있는 ‘유령’ 천체를 포착해 공개했다.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고물자리는 영웅들이 타고 원정을 떠났던 배인 아르고호의 뒤쪽에 ... ...
조약돌 곡률은 가우스분포
과학동아
l
200608
곡률은 수학적으로 모두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지난 7
월
14일 ‘네이처’ 온라인뉴스에 따르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재료물리학자인 도우 두리안 박사팀이 조약돌의곡률이 종 모양의 가우스 분포와 유사하다는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프랑스 북부의 몽생미셸 만(bay)에서 6 ... ...
구름의 변심,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608
변심이 원망스럽다. 새하얀 구름 어디에 그렇게 많은 빗방울이 숨어 있었을까.지난 7
월
14일자 ‘사이언스’ 온라인뉴스에 따르면 스웨덴 괴테보르크대의 물리학자 베른하르트 멜리히 박사가 그 원인을 밝혀냈다. 멜리히 박사는 솜털 같은 구름에는 서로 뭉쳐서 떨어질 만큼 많은 양의 수증기가 ... ...
이전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