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퍼즐처럼 연결된 초분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동일한 분자 여럿이 자발적으로 모여 속이 빈 공을 만들 수 있을까? 이런 문제에
처음
으로 접근한 화학자는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의 줄리우스 리벡 교수다.1993년 당시 MIT 화학과 교수였던 리벡은 테니스공에서 영감을 얻었다. 테니스공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똑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조각 두 개가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초미세거울과 2개의 바늘구멍이 결합된 카메라다.박 교수는 “이 망원경을 이용하면
처음
엔 지름 200km의 넓은 영역을 바라보다 특정 위치에서 메가번개가 출현하면 바로자세히 촬영할 수 있다”며 “초당 10만장을 찍을 수 있어 메가번개의 비밀을 상당부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또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수학적인 이해가 깊어지면서 원주율은 정확한 값에 가까워졌다. 유휘는 중국에서
처음
으로 내접다각형의 넓이가 원의 넓이에 근접해가는 원리를 적용해 96각형의 넓이를 계산하고 원주율(π)이 3.141024와 3.142704 사이의 값이란 점을 알아냈다.또 복희가 들고 있는 곱자는 중국의 피타고라스 정리인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1과 NF-kB라는 두 유전자가 병균이 침범한 직후 상호작용해 면역체계를 구성한다는 사실을
처음
으로 밝혔다.그동안 면역반응은 일부 유전자의 단독 기능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상호작용’이 핵심열쇠라는 점을 규명한 것이다. 이전까지 세계 생명과학계는 상호작용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기 ... ...
멀티미디어 컴퓨팅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구별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해 소유주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1997년
처음
개발된 동영상 워터마크는 화면을 격자로 나눠 특정한 위치에 특정한 색상이나 밝기 같은 디지털 정보를 삽입하는 기법이었다. 즉 일반인이 눈치 챌 수 없을 정도로 화질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그런데 ... ...
람세스의 목소리가 들리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타니스는 학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 서양 사람들이 발굴을 위해 타니스를
처음
찾은 것은 1722년이었다. 이어 1798년 나폴레옹과 함께 프랑스 학자들이 타니스에 왔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 꾸준히 발굴이 이어졌다. 타니스는 특히 1939년 프랑스 학자들의 발굴에서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加壓水型, PWR)이 있으며 모두 미국에서 개발되어 동력로(動力爐)로서의 지위를 확보했다
처음
에는 원자력 잠수함용으로 개발되었으나 그 후에 원자력 발전소나 원자력 선 등을 위한 상용(商用) 원자로로 발전하여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유한집합론의 용어 한 시행(試行)에서 어떤 사건이 ... ...
방어진에는 배가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깔고 그 위에 고압의 공기를 뿜어 배를 공중에 띄운 채 바다로 밀어낸다”고 설명했다.
처음
에는 공기 대신 경사면을 이용하는 방법도 생각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쓰면 부력 때문에 배가 물에 닿는 순간 기울어져 가라앉을 위험이 있다. 김 차장은 “공기로 배를 띄우면 배와 레일 사이의 마찰력이 ... ...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WWW)의 3D 버전’이라고 평가한다. IBM의 샘 팔미사노 회장은 “세상에 인터넷이
처음
소개됐을 때의 충격이 다시 올 것”이라며 세컨드 라이프를 차세대 3D 인터넷 서비스로 꼽았다.세컨드 라이프 안에 담겨 있는 철학과 시스템, 그리고 기술력은 웹 2.0의 화두를 넘어 인터넷이 미래로 진일보하는 ... ...
결핵 안전지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힘들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 다재내성결핵 환자로부터 전염된 사람은
처음
부터 다재내성결핵 환자가 되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 결핵이 정복된 적은 없어요.” 언론에서 ‘정복된 줄 알았던 결핵이’란 표현을 쓰는 것에 대해 결핵연구원 류우진 역학조사 부장은 단호히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