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나라와 거리가 멀고(1100km)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상승기류의 방향이 동쪽이라
큰
위험이 없다.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은 “①바람이 후쿠시마 원전에서 전부 우리나라 쪽으로 불어오고, ②1~3호기의 연료봉이 모두 녹아서 방사성 물질이 노심 외부로 방출되며 ③격납건물 밖으로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초고압 변전소나 고압선 철탑이 필요 없어진다.초전도 케이블을 만들 때 가장
큰
걸림돌은 온도다. 현존하는 모든 초전도체는 아주 낮은 온도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개발하는 초전도 케이블은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한다. 덕분에 값비싼 액체헬륨 대신 생수보다 저렴한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캄보디아로 향했다.이번 봉사단에 선정된 고려대 학생은 총 17명. ‘교육봉사’라는
큰
틀만 갖춰진 상태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자이자 진행자가 됐다.캄보디아에 도착하기 한 달 전부터 다양한 자료 수집과 끊임없는 토론을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하나씩 덧붙여 나갔다. 이렇게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암처럼 전이되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시급하지는 않다. 하지만 자궁 내외부에 크기가
큰
근종이 있으면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기 때문에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근종이 있는 상태에서 임신을 하면 근종이 아기와 함께 자라기 때문에 태아의 성장을 방해한다. 지난해 2월 미국 워싱턴대의 몰리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호메오유전자를 연구하는 다른 실험실에서도 많은 진전이 있어서 게링 박사팀 연구에
큰
도움이 됐다.마침내 1983년 게링 박사팀은 안테나페디아 유전자 사냥에 성공했다. 예상대로 안테나페디아는 효소가 아니라 전사인자를 지정하는 유전자였다. 그런데 유전자를 찾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이상한 ... ...
나 대신 옷 갈아입는 아바타 쇼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말아야 할지 결정을 내려야 했다. 사이즈도 허리는 맞는데 엉덩이가 작다면 한 사이즈
큰
옷을 사서 허리를 줄이거나 바짓단을 올리는 방식으로 수선해서 입었다.그런데 지금은 주문을 한 뒤에 생산을 하는 방식도 가능해졌다. 소비자 스스로가 디자인을 결정하고 본인의 몸에 꼭 맞는 의복을 주문해 ... ...
“올림피아드 성적 반영 안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뻗은 동대구로에 자리한다. 대구과학고는 올해 영재고로 전환해 첫 신입생을 선발하며
큰
변화가 일어났다. 거경전형과 궁리전형으로 나눠 치른 두 가지 전형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고, 영재고 전환 후 달라진 학교생활을 듣고자 구교석 교무기획부장을 만났다.올해부터 영재고로 전환했다.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왕나비 (Parantica sita ) 분류 : 나비목/네발나비과, 날개 편 길이 : 90~100mm박주가리과
큰
조롱을 먹이식물로 한다. 녹색과 노란색, 흰색이 섞여 일종의 경계색을 띤다. 머리 양 옆과 배마디 끝부분에 가는 실 형태의 돌기가 두 개씩 있다. ... ...
책 속에서 꿈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않으면 돼.” 화학을 전공하고 싶은 K학생의 경우 화학과 수학 경시대회를 준비해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고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한번 도전해볼 수 있다. 그리고 학교에서 하는 각종 탐구대회에 나가보는 것도 적극 권장한다. 마지막으로 많은 책을 접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상담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증명, 검증한다. 4) 연구 결과 실험으로 구한 π값이 2.82~3.19 정도로 실제 값인 3.14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바늘이 평행선과 만날 확률, 즉 (평행선과 만난 바늘의 개수)/(던진 바늘의 개수)=2L/πd임을 알 수 있다. 나만의 관점을 제시한 선행학습형 중학교 과정을 넘어서는 내용을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