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최근의 검증은 2002년에 이뤄졌다. 이 실험은 이탈리아 물리학자가 NASA와 공동으로 올
7
월 토성에 도착할 카시니 우주선을 활용했다. 실험은 카시니호와 지구 사이의 가시선이 태양 바로 옆을 지날 때 수행됐다. 그 결과 샤피로 시간지연 현상은 상당한 정밀도로 증명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효과는 양자유체에 관한 새로운 이론이다.양자유체란 강한 자기장과 극저온(-2백
7
3℃ 부근)에서 전자들이 액체처럼 운동하면서 저항값으로 분수값을 갖는 상태. 분수양자홀 효과는 매우 정확하기 때문에 정밀한 전기저항을 측정하거나 자기장의 측정표준을 세우는데 중요한 이론 실험적 근거들을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교수 연구팀은 이미 에로틱한 느낌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건장한 청년
7
명에게 포르노 영화를 보여주며 PET를 사용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조사했다.이때 활성화된 부분은 측두엽의 아래쪽, 도피질, 전두엽의 아래쪽, 앞쪽 대상회였다. 측두엽의 아래쪽은 후두엽의 시각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다. 즉 금성일면 통과 현상이 진행돼 상태에서 해가 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녁
7
시 무렵 일몰 직전이 아마 가장 관측하기 편리한 시점이 아닐까.이날 금성은 지구와 가장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금성이 눈에 보이는 크기 역시 가장 크다. 이때의 금성이 눈에 보이는 시직경은 대략 1분각으로 ... ...
만물박사에게 물어보세요 druniverse.wsu.edu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 일부는 개구리를 해부하기 위해 과학실험실을 찾는다. 그런데
7
종 이상의 개구리가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개구리 해부 실험은 환경 파괴의 위험성이 높다.이에 반해 인터넷으로 경험하는 가상 개구리 해부는 환경 보존과 생명존중을 실천하며 생물 기능 탐구를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해저케이블 앞으로 서울대 해양연구소는 연구가 진행중인 대한해협 해저케이블과
7
월에 시작할 HJK케이블 이외의 한반도 주변에 설치된 여러 해저케이블의 활용을 꿈꾸고 있다. 현재 통신용으로 사용중인 울릉도와 강원도 호산을 잇는 울릉-육지 해저케이블, 그리고 중국-한국 태안을 잇는CKC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위치정보시스템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항공사진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3-
7
개 정보에 불과한 현재 수준에서 벗어나 2백개 이상의 분광영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고성능 분광센서도 조만간 국산화될 전망이다. 또 악천후에도 지표면을 관측할 수 있어 첩보 목적이나 자원탐사에 ... ...
04. 드라마 속 사랑 과학으로 다시 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여성들을 어떻게 평가할까.캐나다 요크대 심리학자인 마리안느 피셔 박사 연구팀은 5
7
명의 여학생에게 다른 여성의 얼굴 사진을 보여주고 매력도를 평가하라고 지시했다. 그 결과 가임능력이 가장 높은 기간, 즉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은 시기의 여학생일수록 사진 속 여성의 매력도를 더 낮게 평가한 ... ...
5월의 밤하늘 가른 니트 혜성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보일 정도에 불과했다. NASA가 예측한 바에 따르면 니트 혜성이 가장 밝아지는 때는 5월
7
일 경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다. 혜성의 꼬리가 길어 두장을 찍은 뒤 합성한 사진이다. 클로즈업한 부분은 혜성의 머리 중심인 핵이다 ... ...
태양계 밖 행성 첫 촬영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별이 너무 밝으면 주위 행성을 볼 수 없다”며 “따라서 우리는 별빛이 약한 백색왜성
7
개를 추적했는데 그중 3개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천체의 존재를 포착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번 관측이 1백% 확실한 것은 아니다. 진짜 행성이 아니라 지구에서 볼 때 우연히 백색왜성과 같은 각도에 위치해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