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운
복지
안녕
기쁨
만족
축복받음
번영
d라이브러리
"
행복
"(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02
마침내 세계 의회는 그를 인간이라고 규정지었다. 앤드류는 2백세의 생일날
행복
하게 숨을 거두었다. 그런데 그가 숨을 거두기 직전 중얼거린 가냘픈 소리는 아무도 듣지 못했다. "작은아씨…."5백여편 작품 펴낸 의대 교수 출신의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아시모프(1920-1992)는 달리 소개가 필요없을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11
천둥이다.물방울 모양 닮은 무지개하늘에서 벌어지는 물방울의 조화 중 사람들에게 가장
행복
감을 주는 것이 무지개라고 한다면 지나칠까. 무지개의 가치는 희소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 아무 때나 아무 곳에서나 보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조건에서만 만들어진다. 비가 온 후 대기 중에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11
등장할 것이다.미래의 신약은 생의 의욕을 상실한 사람에게는 희망을 주고 가정의
행복
을 되찾아 줄 가능성이 크다. 미국에서 ‘점잖은’ 언론매체인 뉴욕타임스와 뉴스위크는 비아그라를 비롯한 삶의 질을 개선하는 신약이 은밀한 호기심의 대상에 그쳐서는 안된다고 표현했다. 오히려 사회문화적 ... ...
화학물질로 본 사랑3단계
과학동아
l
199910
자극하는 천연각성제 구실을 한다. 이때는 이성으로 제어하기 힘든 열정이 분출되고
행복
감에 빠진다. 이때쯤 되면 사랑하는 사람을 껴앉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면서 시상하부의 뇌하수체에서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상대방의 자극에 예민해지면서 육체적인 사랑을 원한다. 서로에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10
두려움을 벗고 진실을 보라 한다. 유전 때문에 고통받아온 나날들,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행복
하고 풍요로운 삶을. 우리 앞에는 상상하고 감당하기 힘든 미래가 다가오고 있다. 때로 과학은 정치의 시녀가 된다. 정치를 알면 과학이 보인다는 것은 이를 두고 하는 말. 불행하게도 과학의 역사는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10
엔도르핀은 음이 된다.한때 유행했던 건강법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엔도르핀은 유쾌하고
행복
한 상태에서 많이 분비돼 면역기능을 높혀주고 통증을 완화해 주지만 생식에는 악영향을 준다. 하루라도 조깅을 쉴 수 없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반드시 달리는 조깅중독자, 하루에 4시간 이상 격렬하게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10
주인공이 현실에서 대거 출현할 가능성이 크다.그러나 형질이 우수해진다고 해서
행복
감이 증가한다는 보장은 없다. 한 예로 우수한 사람이 많아지면 그 사이에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인간 사이의 따뜻한 유대감이 줄고, 상대보다 뛰어나야 한다는 마음 때문에 심리적인 불안감이 더욱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10
보인다(오스틴 도브슨)’는 명언이 있다. 실연을 두고 하는 말이다. 첫사랑과 결혼한
행복
한(?) 사람도 있겠지만 많은 연인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헤어진다. 이때 이뤄지지 못한 사랑은 아픈 상처를 남긴다.권석만교수(서울대 심리학과)에 따르면 실연은 한마디로 사랑의 상실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
과학동아
l
199909
예로부터 어른들은 ‘아홉수를 조심하라’고 했다. 29세 된 자식은 결혼을 피하고, 회갑 전해(59세)에는 생일을 꺼렸는데, 이것은 9라는 수가 마지막의 ... 믿어버린다.화목하게 잘 살려는 자세가 없다면, 99년 9월 9일에 결혼한다고 해서 특별히
행복
한 결혼생활이 될 이치가 무엇이란 말인가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5. 특허심사관 안소영
과학동아
l
199906
수 없는 즐거움이다.” 이것이 서울대 암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자리를 박차고 나와 얻은
행복
일까. 역시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고, 더 잘할 수 있는 것을 해야하는가 보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