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최초”라고 말했다.플랜트호퍼는 날개가 없는 대신 강한 뒷다리 힘으로 뛰어다니는
곤충
. 그런데 공중에서 몸의 방향이 비틀리는 일 없이 원하는 대로 날아가기 위해서는 두 다리가 동시에 땅을 박차야 한다. 플랜트호퍼의 두 다리는 30마이크로 초(1마이크로초는 10만 분의 1초) 이하의 오차로 동시에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하고말라리아 모기의 흡혈장면 촬영이 이틀 먼저 진행됐다. 특별히 제작한 아크릴
곤충
상자(한쪽에 구멍을 뚫고 고무줄이 달린 토시를 연결해 옆으로 팔을 집어넣을 수 있음)에 내 팔을 집어넣자마자 모기들은 강한 흥미를 보이고 피를 빨기 시작했다. 하지만 접사촬영 렌즈를 통해 본 상황은 그리 ... ...
초파리 ‘입맛’ 까다롭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발견한다면 새로운 모기 기피제나 퇴치제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개리티 교수는 “
곤충
이 어떻게 열을 감지하고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면 말라리아나 수면병 같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꿀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꿀이 가득 들어 더 맛있는 꽃을 한 눈에 알아보는 벌과 나비는
곤충
계의 ‘장인’이다.어두운 바다속 밝혀주는 ‘반사판ʼ바다는 시각이 발달하기에 제약이 너무 많은 환경이다. 가시광선이 닿는 깊이는 수심 200m가 한계다. 게다가 파란 빛만 이 깊이까지 침투할 수 있어서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필자(윤기상)가 점심시간에 산 밑에 있는 학교 뒤뜰을 산책할 때였다. 선생님 세 분이
곤충
소리를 들었다며 매미 소리인지 토론을 하고 있었다. 이미 가을이 한창이라 매미일 리 없다는 의견이 강했지만, 필자가 들어보니 매미 소리가 맞았다. 늦털매미다.털매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늦게 나온다고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대만, 일본 등에서도 볼 수 있다.김기경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로 재직하며
곤충
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자생생물 소리도감 발간도 총괄하고 있다.윤기상 대전 전민고등학교 과학(물리)교사. 물리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큰 변화 없이 각자의 활동구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런데 7억 년 전 등장한
곤충
이 식물과 척추동물 사이를 오가며 바이러스의 활동구역을 뒤섞기 시작했다.이처럼 활동구역이 뒤섞이자 바이러스의 진화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숙주가 자연선택을 받아 멸종하거나 진화하면서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능력, 에너지 밀도 모두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3D프린터로 만든 초소형 배터리는
곤충
을 모방한 초소형 로봇, 의료기기, 휴대기기에 쓰이게 될 전망이다.이번 연구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6월 8일자에 실렸다 ... ...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방문해 직접 들어볼 수 있다. 김기경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로 재직하며
곤충
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자생생물 소리도감 발간도 총괄하고 있다.윤기상 │대전 전민고등학교 과학(물리)교사. 물리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지목되고 있다.시험재배중인 GMO는 주변 경작지에 침투할 수 있다. 꽃가루가 바람이나
곤충
을 매개로 옮겨갈 수 있다는 점은 상식이다. 2001년 시험재배 중이던 GM 밀(MON71800)의 꽃가루가 주변 밀밭으로 옮겨가 일반 밀과 교배됐을 수 있다. MON71800의 씨앗이 어딘가에서 유출돼 자랐을 가능성도 있다.201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