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매치한 두 번째 사진은 D등급이에요. 이런 의상과 등급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기계학습’을 시키면 알고리듬 스스로 어떤 의상 조합이 멋진지 학습해요. 이렇게 개발된 앱에 옷 정보를 입력하면 추천 알고리듬이 일정 등급 이상으로 의상을 조합해 준답니다. 내게 맞는 운동은 집단 지성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제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이 완성되고 첫 작동의 순간! 나모 님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기계를 작동시킵니다. 이런…. 몇 번 움직이던 호미가 그대로 멈췄습니다. 처음 조립할 때 크랭크와 연장 봉을 연결해주는 핀이 조금 엇나갔는데, 빨리 만들고 싶어 무시하고 지나갔더니 결국엔 크랭크가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공격하는 것만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라며 “빛이나 소리와 같은 물리적인 요소로도 기계나 시스템을 망가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 예로 소리를 이용해 드론을 추락시킨 영상을 보여줬다. 영상에서 정상적으로 비행하던 드론은 작은 소리가 들리자 갑자기 땅으로 곤두박질쳤다.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사실 방 안에 있는 사람은 중국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합니다. 기계처럼 정해진 대로 답변을 만들 뿐이지요. 자신이 뭐라고 답변하는지도 모릅니다. 중국어 방을 인공지능 안드로이드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중국어 방은 인간과 똑같아 보이는 안드로이드 몸이 됩니다. 그 ... ...
- [과학뉴스] WOW! 보고, 듣고, 만지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들을 수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히라야마 류지 영국 서섹스대 기계정보학부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시각과 촉각, 음향을 동시에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이 디스플레이는 기존에 주로 사용된 홀로그래픽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페트병 재활용업체인 씨케이를 운영하는 권두영 대표는 “우선 기계를 이용해 페트병에서 일차적으로 라벨을 제거한 뒤, 물에 담가 떠오르는 라벨 조각을 분리한다”며 “이후 접착제로 인해 표면에 남은 라벨과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고온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주인. 전 세계적으로는 475번째, 여성으로서는 49번째로 우주에 다녀왔다. KAIST에서 기계공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대학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공학도 출신이다. 현재는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협력 ...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것”이라며 “가벼운 도전부터 경험을 쌓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생명과학이든 기계공학이든 역사든 철학이든 한 분야를 전공하거나 전문가 수준의 관심을 가지라는 조언도 남겼다. 그는 “한 분야를 파고들다 보면 그 속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전할 수 있게 된다”면서 “자신만의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수학자 존콘웨이가 ‘생명 게임’이란 이름으로 다시 살려냈다. 노이만은 하나의 튜링 기계가 29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했지만, 콘웨이는 ‘삶, 죽음, 탄생’ 등 3가지의 상태만 가지도록 했다. 콘웨이가 고안한 생명 게임은 몇 가지 규칙이 있다. 규칙들을 따르다 보면 일정한 주기마다 ... ...
- [과학뉴스] 인공지능(AI)으로 초압축성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델프트공대 재료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이 별도의 실험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AI의 기계학습만으로 새롭고 강력한 초압축성 재료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그간 신소재를 개발하려면 사람이 직접 실험을 반복해야 해야 했다. 재료의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