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테이지
배경
장소
공연장
영역
범위
스태이지
d라이브러리
"
무대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을 좌우·상하·앞뒤에서 듣는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스테레오시스템은 두개의 스피커만 가지고 있어서 음향 효과를 제대로 낼 수 없었다.
무대
위 여러 지점에서 사운드가 나오는 실연(實演)상황을 그대로 재연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시청자들은 안방에 앉아서 원음 그대로 들을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2채널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분야에서 일본이 열세인 것은 영화 문학 음악 등 전반적인 예술분야에서 일본이 국제
무대
에 내세울 것이 별로 없다는 현실과 마찬가지로 지극히 당연한 일본문화의 소산이다.)VTR 자동차 낚시대 안경테를 세계에서 가장 잘 만드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1백년전에 이미 세계 최고수준의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우주탐사경쟁은 달보다 더 먼 곳에 있는 행성으로 뻗어 나갔다.금성탐사에서는 소련의 독
무대
. 소련은 앞서 언급한 금성탐사선 베네라 3호부터 14호까지 발사했다. 1980년에 보낸 베네라 14호는 X선을 사용하는 금성의 토양분석기마저 갖추어 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금성에 관한 지식의 대부분을 제공해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R. P. Feynman) 슈빙거(J. Schwinger) 도모나가 (朝永振一郞)로 하여금 노벨상을 타게 한 활동
무대
가 되기도 했다.양자론이 비단 물리학에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다. 현대과학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양자라는 표현이 붙지 않은 곳이 없다. 예컨대 양자화학 양자생물학(혹은 분자생물학) 등 양자라는 표현은 ... ...
로마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연주회가 개최된다. 그리고 카라칼라황제 공중목욕장 유적지에는 야외 노천 가설
무대
를 설치, 아이다 투란도트 등 걸작 오페라를 7월 초순부터 8월 말까지 계속 공연한다. 이 오페라를 관람하기 위해 일부러 이 시기에 맞추어 세계각지에서 수많은 관광객들이 로마로 몰려온다.「로마의 휴일」을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최고배율이 2천배에 불과한 광학현미경을 차츰 대체해 가고 있는 전자현미경. 이 경이의 「눈」에 새로운 장비가 계속 부탁되고···이제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은 모 ... 선호하고 있다. 반면 품질관리를 위해 전자 현미경을 활용하는 생산현장에서는 보급형이 독
무대
를 이루고 있다 ... ...
(주)건인 시스템 변대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힘든 유혹이었죠. 하지만 개인적인 성향을 살리기로 곧 결정했어요. 또 공학은 현장이 주
무대
라고 느껴졌습니다."제자의 포부를 전해 들은 권교수는 미국의 휴렛팩커드사의 역사와 중소기업에 관한 정보를 들려주는 등 응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고 '한국의 휴렛팩커드사'가 되라는 주문도 했다 ... ...
초소형과 슈퍼컴의 극단적 조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있으며 여기에서의 치열한 경쟁은 이미 시작되었다.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의 독
무대
이다시피했던 슈퍼컴퓨터분야에 일본이 뛰어든지는 얼마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전기(NEC)는 89년 처리 SX-3를 발표, 속도가 22기가 플롭스를 웃도는 미국을 깜짝 놀라게 했다.세계 슈퍼컴퓨터업계의 대부격인 ... ...
의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의학에서 꿈같은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어떤 상황이 전개될 수 있을까?인터루킨-2의 활약
무대
과학은 냉정한 현실일 뿐 꿈같은 신화가 아니다.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의 의학발전이 지지부진할 것 같은 인상을 받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죽어가는 사람에게 불로초 불사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적은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하여 삽사리 품종의 재창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우리나라가 여러 분야애서 국제
무대
로 발돋움하는 이때, 세계에 내놓고 자랑할만한 단 한 종류의 토착 품종이 없다는 사실은 우리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특히 개는 모른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애완동물로서 우리가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