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고려해야 한다. 그래야 문제를 풀 열쇠도 발견할 수 있다. 근본원인 중 첫 번째는
성과
압박이다. 연구윤리 실태조사에서 연구부정행위를 왜 저지르는지 묻는 질문에 ‘많은 업적을 내야 하는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50.7%로 가장 많았다. 안정적인 직장이든 연구비 지원이든 모두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팔과 카메라가 달려 있어 물체를 세밀하게 옮길 수 있습니다. 아직 연구 중인데 꽤 좋은
성과
를 내고 있어 뿌듯하네요.이민지 산업체나 기업과 함께 진행하고 계신 연구도 있나요?김현진: 현재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게 생체모방연구를 하고 있어요. 새를 보면 가만히 떠있을 때도 날개를 움직여요.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
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하트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 전망이다.하트 지형을 방문할 때는 숨은그림 찾듯 크레이터를 찾아보자. 광활한 얼음 위에 크레이터 흔적이 거의 없다. 이는 지형이 생긴 지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90% 이상인 6.6kW급 무선전력충전 시스템을 개발해 전기차에 적용할 계획이다.연구
성과
실용화진흥원이 2014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무선충전 시장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각 산업 분야에서 무선충전이 얼마나 중요한 기술로 인식될지, 또 어떤 기술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지는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군집로봇 기술이 필수인데, 군집로봇은 미국의 과학잡지 ‘사이언스’가 2014년 10대
성과
로 꼽았을 정도로 미래 사회에 중요한 기술이다.로봇축구대회는 바로 이런 기술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시험대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목포대 iSL팀을 이끄는 이기남 연구원(박사과정)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본격화되던 시기에 세계 각국의 중요한 산물을 모아 진열하고 새로운 산업 기술의
성과
와 문화를 겨루던 국제박람회다. 당시 풀러는 적은 재료로 큰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건축 구조를 만들기 위해 구를 닮은 다면체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 결과 풀러는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훨씬 더 적은 재료를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모두 추정일 뿐이었다. 임미희 UNIST 자연과학부 교수가 연구
성과
를 내기 전까지는. 임 교수는 지난해 5월,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확인하는 화학도구를 개발해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 ...
[수학뉴스] 한국 2015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종합 3위!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2개를 따냈습니다. 미국과 중국에 이은 종합 3위입니다.대단하네요! 내년에도 좋은
성과
를 낼 수 있겠지요?지난 5월 초부터 대표단 후보 12명과 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 십여 명이 주말마다 모여 수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내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도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먼 나라에서 수학 강국의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진)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 Q 연구 결과가 학술지 ‘해부 기록’에 실렸다. 연구의
성과
는?A 시신의 다리 조각이 미라화되는 전 과정을 최초로 관찰했다. 고대 이집트의 방부 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지 가장 확실하게 밝힌 셈이다. 미라가 완성되기까지 총 7개월이 걸렸다. 역사학자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이 발견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물꼬가 트였다. 이후의
성과
는 눈부시다. DNA 메틸화, 히스톤 꼬리 단백질이 밝혀졌고 질병치료에도 활용 중이다. 지난 20년간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