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GPR은 땅속에 전자기파를 쏜 뒤, 물체에 반사돼 오는 신호를 이용하는데요, 반사의 세기, 반사 시간과 위치를 이용하면 어디에 얼마나 큰 물체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대 2m 깊이에 있는 지름 10cm 크기 작은 돌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드론으로 패턴을 읽다 GPR과 ... ...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예를 들어 더해서 B가 되고 곱해서 C가 되는 두 수가 2차 방정식의 근이라는 사실은 16세기 프랑스 수학자 프랑수아 비에트에 의해 밝혀졌고, 더해서 B가 되는 두 수의 평균이 B/2라는 사실은 바빌로니아, 그리스 수학자들에 의해 기원전부터 밝혀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각각의 사실을 하나의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까. 힉스 입자의 존재 가능성이 1964년에 처음 제안되고, 약 반세기가 지나서야 발견됐다는 사실에 비춰보면, 1977년에 처음 알려진 액시온 입자도 머지않았다. 앞으로 10여 년 동안의 연구가 액시온 입자 발견이라는 결실로 이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본다 ... ...
- 유적의 연대를 파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야요이 시대 토기의 연대를 탄소-14의 양으로 다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기원전 10세기경에 제작됐다는 결과가 나온 겁니다. 기존의 연대표와 약 700여 년의 차이입니다. 만약 이 결과가 인정될 경우 일본 역사 전반이 수정돼야 하며, 우리나라와 중국의 금속기 사용 시기도 조금씩 수정해야 합니다 ... ...
- [매스크래프트]#2. 태국의 수상가옥에서 한붓그리기가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다리…, 다리? 갑자기 수학 문제가 번뜩였어요! 바로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요! 18세기 독일 쾨니히스베르크(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는 고리 모양으로 흐르는 프레겔 강이 있었습니다. 이 강은 그림➋처럼 도시를 4개의 구역으로 나눴고, 7개의 다리가 이 구역들을 연결했습니다. 다리를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커피에서 머리를 맑게 하고 잠을 깨우는 성분인 ‘카페인’이 분리된 것은 훨씬 나중인 19세기의 일이에요. 1819년, 독일의 과학자 프리들리프 페르디난트 룽게가 처음으로 커피콩에서 추출했지요.카페인은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해요. 우리가 열심히 뛰어놀거나 공부를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 슈트’를 만났습니다. DNA vs. RNA, 무엇이 다른가☞바로가기(84p)20세기 생물학은 ‘유전자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과학자들은 생명의 신비가 유전자에 숨어 있다고 생각했고, 유전자가 핵의 DNA에 있으며 이중나선 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그리고 DNA가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금성의 태양빛 반사도 변화량은 놀라울 정도로 컸습니다. 대기 온도는 물론 바람의 세기를 좌우할 만큼의 에너지를 더하거나 줄일 수 있는 변화였습니다. 반사도가 최저일 때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정도가 10년 평균보다 45%나 늘고, 반사도가 최고일 때는 태양열에 가열되는 정도가 평소보다 25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유엔환경계획이 설립한 IPCC에서 하지. 이 단체는 5~6년마다 평가 종합보고서를 발표해, 21세기에는 기후변화가 얼마나 빨라질지 전망해. 이때 꼭 필요한 게 바로 ‘수학’이야.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학을 기반으로 한 기후 모형이 필요하다나. 보통 산업화 이전부터 지금까지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사이의 관계를 점과 선의 연결로 나타내서 분석하는 수학의 한 분야로, 그 역사가 18세기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일러는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놓인 7개의 다리의 연결 관계를 점과 그래프로 바꿔 각 점을 한 번씩만 지나면서 원래의 출발점으로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