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우
소의한식
한식
좀도둑
좀도적
소모적
사우
d라이브러리
"
소
"(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타로의 돼지 상식 2 - " 돼지, 과학을 빼 놓으면 안 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당뇨병을 치료하는 세포를 가진 동물을 만들고 있다. 엠젠바이오와 한국축산기술연구
소
가 공동으로 개발해 지난 2006년 12월 말에 태어난 복제돼지도 면역 거부 반응이 없는 인슐린 분비 세포를 갖고 있다. 이 세포를 사람의 췌장에 이식해서 인슐린이 제대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동물 실험을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영국 과학자들이 항암제 성분의 단백질이 든 달걀을 낳는 유전자변형(GM) 닭을 만들었다.영국 로스린 연구
소
가 개발한 이 닭은 질병치료에 필수적인 단백질이 포함된 달걀을 낳는데, ...
소
립자가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며 이 상호 반전 과정을 초래하는 것이
소
립자 사이의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배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기판에는 이런 회로요
소
를 결합하여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한
소
정의 양식이 미리 진공증착(眞空蒸着) 등에 의해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基板) 위에 진공증착법(眞空蒸着法) 등으로 형성한 반도체박막(半導體薄膜)을 사용하여 만든 트랜지스터 TFT라고도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이식해 83일간 생존시킨 기록도 갖고 있다. 충남대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 박창식
소
장은 “기술적, 윤리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수없이 많지만 이종간 장기 이식은 언젠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러나 이종간 장기 이식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다. 서울대 수의학과 우희종 ... ...
광우병은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소
의 뼈와 내장으로 만든 동물성 사료를 먹은
소
들이 주로 걸리며 광우병에 걸린
소
의 고기를 사람이 먹으면 사람 역시 인간광우병에 걸릴 수 있다.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법이 없어서 발병하면 100% 사망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광우병이 21세기에 가장 위험한 전염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별똥별 쇼가 펼쳐지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얻는 에너지의 증가 비율이 전도전자와 결정격자의 충돌에 의한 전자의 에너지 감
소
비율을 넘어, 전도전자군의 온도가 결정격자의 온도보다 높아지는데, 이 상태를 W 쇼클리는 뜨거운 전자라고 불렀다비교적 좁은 범위에 밀집한 선구조를 가진 스펙트럼 분리능이 작은 분광기에서는 선구조가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향해 휘두르는 천이 꼭 빨간색일 필요는 없다.
소
도 개와 마찬가지로 색맹이기 때문이다.
소
는 망토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지 색깔을 보고 달려드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사람이 붉은망토를보고흥분한다.섬뜩한 눈동자를 가진 뱀은 어떤 세상을 바라보고 있을까? 뱀은 사람이 볼 수 없는 ... ...
무
소
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11월 6일 영국과 미국의 연구자들이 획기적인 새 항공기 디자인을 공개했다. 미래의 제트여객기는 연료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소
음도 없다.미국과 영국이 공동 제작하 ... 호르몬 흑색
소
포자극(黑色素胞刺戟)호르몬, 인터메딘(intermedin)이라고도 한다1955년
소
· 돼지 · 양 등의 뇌하수체 ... ...
화산섬 제주도의 보물6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보여주지만
소
머리오름(우도봉)이 분포하는 남동쪽에서는 특색 있는 지형이 나타난다.
소
머리오름 일대에는 검은 모래가 인상적인 검멀레 해안이 펼쳐져 있다. 이곳에서 잠시 눈을 돌리면 파도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보인다. 시루떡을 층층히 쌓아놓은 듯한 모습으로 응회구의 ... ...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된 9·11 참사의 악몽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결과 94층 11개, 95층 10개, 96층 9개의 기둥이 파괴됐다” 며 “한 층의 기둥이 25% 가량
소
실되면 건물은 붕괴 위기에 처한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토목공학과 샌티에고 푸욜 교수는 음료수 캔을 철근 콘크리트 목표물에 빠른 속도로 충돌시키는 실험을 반복해 정확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