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사람이 되었고요. 홍승우 작가님은 “건네받은 만화를 보고 당황했는데 독자들이 좋은
아이디어
를 내서 완성할 수 있었다”며 놀라워하셨답니다. 사과가 떨어지지 않게 높이높이 탑 쌓기!“섭섭박사님~!”릴레이툰이 끝나자 독자와 작가님은 섭섭박사님을 불렀어요. 섭섭박사님은 황당한 게임을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연구했고, 연구를 통해 어떤 것들을 알게 되었는지 적으면 된답니다. 중간 중간 떠오르는
아이디어
들도 놓치지 않도록 바로 적어 주는 게 좋아요.”지사탐 대원들은 장이권 교수님의 말씀에 따라 저마다 정성스럽게 연구노트를 적어나갔어요. 진짜 과학자로 한 발짝 다가가는 순간이었죠. 2단계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윌리엄 몰리뉴’는 1688년 7월 7일, 철학자 존 로크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어요. 그 속엔 재미있는 질문이 있었지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한 사람이 있었어. 그는 정육면체와 구를 만져서 구별할 수 있었지. 정육면체는 8개의 뾰족한 꼭짓점이 있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등의 분야에서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을 소개했다. 그러자 각 분야 의학과 교수들의
아이디어
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수리연 수학자들은 매달 한 번 이상 충남대학교병원 의사들과 만나 다양한 문제를 풀고 있다. 사실 수학자들이 의학 분야의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이번이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개수가 원자로의 열 출력에 비례한다는 점을 고려해 원자로의 가동 여부를 추적한다는
아이디어
다.doi:10.1126/science.aav8136 서선희 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그동안 순수 학문으로만 여겨진 중성미자 연구를 핵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며 “만약 실현된다면 북한 과학자들이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주목할 만합니다. 보통 3월 말이 되면 대회 일정이 발표됩니다. 발명품의 경우
아이디어
가 중요하므로 평소 생활하면서 불편했던 점을 미리 고민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불편한 부분을 간단히 메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화한다면, 수월하게 작품을 제출할 수 있을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풀어 면접관 앞에서 설명해야 한다. 윤 씨는 “시간 안에 문제를 다 풀지 못하더라도
아이디어
를 잘 설명하면 면접관이 힌트를 주기도 한다”며 “너무 기죽지 말고 자신감 있는 태도로 면접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교내 대회 전부 참여 18학번 유원준 서울 청량고를 졸업하고 수시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시절 지도교수님 역시 너무나 훌륭한 분이셨고요. ● 수학자의 일, 마주하는 것 Q.
아이디어
가 떠오르지 않고 막힐 때 교수님만의 극복 방법이 있나요? 마주하는 거예요. 수학 연구는 100일이면 99일이 막히는 일이에요. 이것에 익숙해지는 게 연구자인 것 같아요. 깜깜한 99일 동안 길을 알려주는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어가던 리벳 교수는 불현듯 특수한 경우에 한해 엡실론 추측을 증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
가 떠올랐다. 그 증명을 검증하기 위해 한 달 동안 꼬박 다른 일은 전혀 하지 않고 연구에만 매달렸다.특수한 상황에 대한 해법은 빨리 찾았지만 그것을 일반화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문제가 풀리지 않자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용해 살아 있는 동물세포를 배양해 얻는 식용 고기를 의미한다. 배양육에 대한
아이디어
가 나온 지는 한참 됐다. 영국 총리를 지낸 윈스턴 처칠은 1932년 ‘50년 뒤의 세계(Fifty Years Hence)’라는 책에서 “50년 뒤에는 닭의 가슴살이나 날개만을 먹기 위해 닭을 기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대신 우리는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