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d라이브러리
"
평면
"(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원의 넓이를 각각 구해보자. 테셀레이션도형을 이용해 어떤 틈이나 겹침이 없이
평면
또는 공간을 완전히 메우는 미술의 한 장르다. 테셀레이션은‘4’를 뜻하는 그리스어‘테세레스’에서 유래한 단어로, 정사각형을 붙여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이를 우리말로 쪽매맞춤이라 한다.균형 잡힌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때문에 시선을 좌우로 움직일 때는 입체적으로 보여도, 위아래로 움직일 때는 단순한
평면
처럼 보인다는 한계도 있다. 이는 바꿔 말하면 TV를 누워서 볼 수 없다는 의미다. 대안으로 여러 개의 작은 렌즈를 이용하는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기술이 있다. 물체 앞에 여러 개의 렌즈를 배열해 다양한 ... ...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다. 특히 육각형은 한 내각의 크기가 120°라 세 개를 붙여 놓으면 360°가 되므로 완전한
평면
을 만들 수 있어, 일정한 패턴이 반복되는 문양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안정된 구조를 만들 수 있어 건축물의 구조에도 많이 쓰인다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는 ‘저산소실’이다. 넓이가 약 49m2인 이곳에는 기다란 소파 5개가 놓여 있고 커다란
평면
TV가 걸려 있다. TV 양옆에는 소설부터 수필, 시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책들이 꽂혀 있다. 한쪽 면이 유리창으로 돼 있어 아담한 휴게실의 느낌을 주지만 여기는 남아공의 고지대에 적응하기 위한 과학적인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주인공을
평면
바깥으로 들어 버립니다. 그러자 마침내 주인공에게 직선으로만 보이던
평면
위의 다각형의 실제 모습이 그대로 펼쳐집니다. 주인공의 눈이 뜨이는 순간이지요.고차원을 상상하라그렇다면 4차원에서는 움직이는 육면체가 - 아아! 비유를 위해, 그리고 아아! 만약 그렇지는 않더라도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기하학이 발전하고 새로운 기하학도 탄생했지.구 모양 지구를
평면
에 나타내기 위해 구를 원통에 넣은 뒤 빛이 원통에 비춰서 생긴 그림자로 지도를 그렸어. 원통투영법이라고 해. 원통투영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메르카토르투영법과 횡축 메르카토르투영법이야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디인지 서로 이야기 나눠 보세요. 이러한 활동은 우리가 삼각형, 사각형이라고 하는
평면
도형의 모양을 인식하는 활동과 함께 각 도형의 특징을생각해 보는 수학적 사고의 기본입니다. 여러분도 다른 도형과 삼각형의 다른 점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계를 도형으로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때 원에 찍은 점이 그리는 곡선을 말한다. 바퀴에 껌이 붙은 자전거를 예로 들면 바퀴가
평면
을 1회전 하는 동안 껌이 그리는 곡선을 생각하면 된다.수리부엉이가 사이클로이드로 움직이는 이유는 중력 때문이다. 중력을 이용하면 힘들이지 않고 가장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높은 지점에서 최대한의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만들었다. 과학자들은 메타물질에 얇은 금박을 씌우고 이 금박을 움푹 패게 했다. 보통의
평면
형 투명망토는 움푹 들어간 부분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입체 투명망토는 움푹 팬 형태가 보이지 않는다.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이 역시 완벽한 투명망토와는 아직 거리가 있다는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인한 천구의 이동을 확인했다. 특히 이 혼상은 충북대 이용삼 교수가 조선 초기에
평면
에 그려진 성도를 기초로 전통별자리를 구면상에 복원한 것인데, 전통시대의 별자리 체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 소장된 조선시대 우암 송시열이 사용한 혼천의의 복원품을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