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뉴스] 세상에 없던 지식, 데이터 속에서 찾자!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어요. 올해도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및 한국교육
학술
정보원은 ‘제2회 교육 공공데이터 활용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교육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로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데이터 해석 능력을 평가하는 ‘데이터 ... ...
[한페이지 뉴스] 장내미생물이 바이러스 감염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미국 워싱턴대 의대 교수팀은 장내미생물이 그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셀(Cell)’ 7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치쿤구니야 바이러스를 주입했다. 이때 한 그룹에는 장내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는 항생제인 암피실린과 반코마이신을 투약했다.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맨틀 성분으로 알려진 감람석과 휘석 성분이 달 표면 곳곳에서 발견됐다. 이 내용은 국제
학술
지 ‘네이처’ 2019년 5월 15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19-1189-0올해 12월에는 창어 5호를 달에 보내 달 토양과 암석 샘플을 지구로 가지고 오는 임무를 진행한다. 창어 5호는 달의 북서쪽 륌케르 산에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년 카리브해 서인도제도의 작은 섬나라 아이티에서 나타난 좀비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민족약학저널’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주술사의 묘약으로 죽은 소년이 몇 주 뒤 되살아나, 흐느적거리며 걸어간 사건이 있었다. 논문은 이 소년이 근육에 경련이 있는 듯 몸을 떨었으며, 눈동자의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국립과학연구원 과학자 100명이 지난 1년 동안 벌인 노력과 이야기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3월호에 실렸지요. 과학자들이 복원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룬 것은 화재로 망가진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거였어요. 건물을 이루고 있는 구조물들이 불에 타면서 망가졌기 때문이에요. 과학자 들은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자주 일어날지, 그리고 우리가 그 가능성을 없앨 수 있는지를 연구해 2020년 7월 국제
학술
지 ‘영국왕립오픈사이언스’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비윤리적인 선택지의 개수가 고정돼 있을 때, 전체 선택지의 개수를 조금씩 늘려가며 비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확률을 계산해냈다. 그리고 전체 ... ...
[한페이지 뉴스] 고압에선 이런 모습이? 방사성 원소 퀴륨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96번인 악티늄족 방사성 원소 퀴륨(Cm)의 화학적 성질을 바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7월 15일자에 발표했다. 퀴륨이라는 원소 이름은 퀴리 부부를 기념해 지은 것이다. 연구팀은 기압을 0GPa(기가파스칼·1GPa은 대기압의 1만 배)에서 11GPa까지 변화시키면서 3가 퀴륨 이온(Cm3+)이 ... ...
[한페이지 뉴스] ‘전지적 곤충 시점’ 보여주는 로봇 카메라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초소형, 저전력, 저중량 로봇 개발에 진전을 이뤘다”고 자평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7월 15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robotics.abb083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잠을 자지 못하면 뇌와 상관없이 장에 활성산소(ROS)가 축적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셀’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0.04.049로굴자 교수는 초파리를 대상으로 잠을 자지 못하게 했을 때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했다. 초파리는 포유류와 수면 특성이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억제된 쥐는 체내 자가포식 현상이 감소했고 체중이 줄었다. 연구 결과는 2016년 국제
학술
지 ‘오토파지’에 실렸다. doi: 10.1080/15548627.2016.1215382 식욕조절의 ‘숨은 조연’ 띠뇌실막세포식욕조절의 ‘주연’은 단연 신경세포다. 식욕을 억제하거나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신경세포는 일찍이 알려져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