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어린이과학동아
"
학자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목숨을 잃게 될지도 몰라. 물론 아직까지 기후변화가 우리의 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없어. 하지만 많은
학자
들이 기후변화가 우리에게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 예측하고 있어. 도와 주는 건 고마운데… {BIMG_c10}가끔 산을 돌아다니다 보면 사람들이 우리를 위해 놓고 간 먹이가 있어. 겨울은 식량을 구하기 힘든 계절이라 ...
깨끗할수록 덜 엄격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될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소제시작]시간여행을 하고 온 초신성[소제끝] 아름다운 모습의 이 초신성은 16세기에 티코 브라헤라는 천문
학자
에 의해 관측되었던 것으로, ‘티코의 초신성’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어요. 그런데 400년이나 지난 오늘날, 이 초신성에서 분출된 빛 중 일부가 다시 관측되었어요. 우주의 먼지에 반사되면서 뒤늦게 지구에 도달한 ...
물고기도 여론을 따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27
곳곳을 돌아다니며 나비를 관찰하고 표본을 수집해 나비를 분류했어요. 그러는 동안 나비 분류학 관련 논문을 120편 발표했고, 외국
학자
들이 잘못 이름붙인 우리나라 나비의 이름 800여 개를 바로잡았지요.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 나비의 70%가 제가 지은 이름을 갖게 되었답니다. 와! 정말 대단하세요! 박사님의 연구는 오늘날 나비 연구에도 많은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식재림 리기다소나무, 북쪽 지방의 가문비나무. 현장! 백두대간 백두대간 능선은 식물이 다양할까? {BIMG_c11} 백두대간을 조사하는 식물
학자
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은 백두대간의 식생이 저지대보다 결코 다양하지 않다는 사실! 생태계의 보고라는 예상과 다르지만 백두대간의 환경이 나빠서 일어난 일이 아니므로 안심해도 된다. 백두대간의 고지대는 저지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탐사한 NASA가 이를 숨기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19세기에 이탈리아의 천문
학자
지오바니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서 관측한 ‘줄무늬’를 잘못 이해한 미국의 퍼시발 로웰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웰 외에도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많았다. 20세기 초의 전기기 ...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3
이렇게 파도에도 적용되다니 정말 흥미롭군요. 앞으로 활동 계획도 말씀해 주세요. 메타물질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어요. 과
학자
들은 메타물질 내부에서 빛이 휘는 원리를 이용하면 빛을 저장하는 장치를 만들 수도 있고, 더 빠른 컴퓨터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어요. 앞으로 메타물질의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
소금 법정 대소동(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3
하얀 소금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유우니 소금 사막이 있습니다. 바다 속에 있어야 할 소금이 사막에 있는 신기한 경우라 많은 과
학자
들이 연구를 하게 됐지요. 결국 바다였던 이 지역이 과거에 지각변동으로 인해 높이 솟아올랐고, 빙하기에는 거대한 호수였다가 비가 적고 건조한 기후 때문에 호수의 물이 다 말라서 결국 소금만 남아버렸다는 사실을 알아 냈 ...
한글의DNA를 찾아서(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930
으으~, 난 우주회의 의장인 외계인 1443호야. 우주회의가 열릴 때면 항성마다 제각각의 외계어를 사용해서 골치가 아파. 물론 최첨단 통역기가 있지만 가끔 최첨단 통역기가 먹통이 될 때면 정말 곤란하다구. 게다가 음성으로 회의 내용을 저장해 놓긴 하지만 수많은 ... 것처럼 한글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보면 동영상을 보는 것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 거지. 그래서 ...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거대강입자가속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910
생길 수 있다고 해요. 하지만 그 시간이 워낙 짧기 때문에 지구가 빨려 들어갈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답니다. 힉스 입자는 영국의 물리
학자
피터 힉스가 제안한 입자로, 물질에 질량이 생기게 해 주기 때문에 ‘신의 입자’라고 불려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찾아 내지 못했지요. 올해 3월에는 CMS검출기를 이용해 힉스 입자가 만들어졌다 붕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14
가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 중 혜성이나 소행성 충돌로 화재가 일어났다는 가설이 유력하게 꼽히고 있지요. 또 최근에는 독일의 물리
학자
가 1000만 톤의 메탄가스가 분출되면서 퉁구스카 폭발이 일어났다는 새로운 주장을 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아직 이러한 가설을 입증할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있어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답니다. 과학이 고도로 발달한 오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