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뉴스
"
공명
"(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배 오래 피울수록 치매 일찍 온다
동아일보
l
2015.08.25
2012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성인 남성 977명을 대상으로 자기
공명
영상(MRI)을 통한 뇌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대는 57∼71세(평균 64.9세)로, 치매 검사에서 문제가 없다는 판정을 받은 ‘인지 기능 정상 상태’의 사람들이다. 겉으로 나타나는 모습에서는 특별한 ... ...
고백에 성공하려면, 일단 배불리 먹이세요
2015.08.17
않았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8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다양한 사진을 보여주며 자기
공명
영상(MRI) 장치로 이들의 뇌 반응을 살폈다. 연구팀이 참가자들에게 제시한 사진은 손을 잡고 있는 연인과 같은 로맨틱한 사진이나, 볼링 공과 같은 중립적인 사진이었다. 그 결과 금식 상태에서는 로맨틱한 ... ...
스트레스 많이 받으면 판단력 떨어진다
2015.08.05
뇌 기능에서도 확인됐다. 실험 참가자들을 뇌 기능을 살펴볼 수 있는 fMRI(기능성자기
공명
영상촬영) 장비로 검사한 결과 스트레스가 심한 실험군은 자기조절기능을 담당하는 편도체와 선조체 등 뇌 부위의 활성이 크게 저조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교수는 “(얼음물에 손을 3분간 담그는)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영역 전체가 활성화된다고 밝혀진 동물은 개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개가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 안에서 진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을 수 있도록 훈련시켰다. 그런 다음 fMRI 안에 있는 개에게 인간, 개 그리고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여주면서 뇌의 반응을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그리고 자원자들의 비명 소리를 녹음해 피실험자에게 들려줬다. 그리고 fMRI(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촬영)로 편도체의 활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비명소리에만 활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포영화의 호러퀸들은 어떨까? 직접 테스트해봤다. wikimedia.org 제공 ◆ 흥행에 성공한 ‘호러퀸’ 1. ... ...
금을 반도체로 쓴다구요? 이렇게 해보세요
2015.07.22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이 인체에 무해한 만큼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 촬영 시 복용하는 조영제를 대신해 의료 검사에도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Oh my god, help me)’가 각각 녹음된 소리를 들려주고 이때 뇌의 반응을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로 촬영했다. 그 결과 비명을 들었을 때 사람의 뇌에서는 청각피질과 함께 공포를 느끼는 편도체 부위가 눈에 띄게 활성화됐다. 도와달라는 소리를 들었을 때에는 청각피질만 반응했다. 또 ... ...
입자가속기 손상 시킬 ‘최후의 암초’ 드디어 찾았다
2015.07.08
이론상 8차
공명
현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연구팀이 사실상 마지막
공명
현상을 발견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 연구위원은 “현재 IBS에서 건설 중인 중이온가속기 또한 선형가속기인 만큼 이번 연구결과를 응용해 운전효율을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이기적인 선수는 골을 넣어도 행복하지 않다?
2015.07.05
했다. 그런 뒤 선택에 따른 결과를 알려 주면서 선택과 결과에 따른 뇌 반응을 자기
공명
영상(MRI) 장치로 관찰했다. 실험 결과 문전 앞 상황에서 선수가 내리는 판단과 그 결과에 따르는 감정은 뇌의 배측선조체(ventral striatum)와 복내측 전전두 피질(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과 관련이 있었다. 두 ... ...
‘2015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2015.06.30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광결정을 이용해 아주 작은 레이저 공진기(원하는 빛의
공명
을 만드는 장치)를 구현하는 데 있어 세계 최고 실력자로 꼽힌다. 이 교수는 “KAIST에서 훌륭한 학생들과 연구한 덕분에 큰 상을 받을 수 있었다”며 제자들에게 공을 돌렸다.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