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목
강좌
교과안
교과목
내용교과
내용
뉴스
"
교과
"(으)로 총 84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공부]“학부모와 독서토론하고 학급 경계 뛰어넘어요”
동아일보
l
2014.12.23
‘북돋움 프로젝트’ 경기 이매중은 ‘북돋움 프로젝트’ ‘북주기 프로젝트’ 등
교과
와 연계한 독서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인성 및 사고력을 기르는 교육을 한다. ‘북돋움 프로젝트’는 학부모와 학생이 함께 한 달에 한 번 독서토론을 진행하는 이색적인 창의적 체험활동. 학부모 1명과 학생 4명 ... ...
24시간 실험실 개방… 이론-실무 겸비로 취업률 85.9% 1위
동아일보
l
2014.12.16
직업탐구는 특성화 고교 출신자만 선택할 수 있다. 학생부 성적은 국어, 영어, 수학
교과
전 과목에서 1학년 20%, 2·3학년 80% 비율로 반영한다. 특히 1∼6등급 이내일 경우는 1개 등급 간 편차가 학생부 성적 30점 중 0.7점에 불과하므로 수능 성적의 비중이 더 크다. 공학계열의 경우 수학B를 선택하면 ... ...
[신나는 공부]공부의욕 불태운 비결은?… 목표와 흥미!
동아일보
l
2014.12.09
방식을 버리고 ‘이해와 탐구’로 방법을 바꿨다. 주로 국어와 사회탐구를 공부할 때
교과
서나 문제집에 나온 개념을 체크해둔 뒤 집에서 찾아보며 따로 정리했다. 예를 들어 한국사에서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책을 공부할 때는 달달 외우지 않고 역사적으로 전후 맥락을 찾아보고 이해하려 노력했다.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네이처 제공 학창시절 수학
교과
서 속 집합 단원에서 볼 수 있는 벤다이어그램. 이 벤다이어그램이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표지 속 벤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은 사람의 머리를 형상화했다. 또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인 교집합은 쥐로 나타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집합은 쥐라는 ... ...
출제위원 75%가 교수…“고교생 수준 몰라”
동아일보
l
2014.11.19
들어갔다. 수능을 약 한 달 남기고 문제를 만들기 시작한 것. 출제위원들은 이 기간에
교과
과정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EBS 교재와 문항 연계율 70%를 유지하며 문제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마치면 시중 참고서와 문제집, 학원 교재를 다시 살피며 혹시 유사한 문항이 없는지 확인하는 작업까지 거쳐야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대학수학능력시험 정답 오류 논란이 올해도 불거졌다. 논란의 중심에는 과학탐구 생명과학Ⅱ의 8번 문 ... 고교
교과
과정과 실제와의 간극에서 발생한 문제라고 본다. 그렇다고 출제 범위를
교과
서 밖으로 넓힌다면 잘못된 문제가 이 뿐만은 아닐 것이다.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DGIST), 포스텍 등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 가운데 외국인 교수 비율이 가장 높다. 모든
교과
과정을 영어로 수업하는 유일한 대학이라는 교육 환경도 외국인 교수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 속에 노벨상의 꿈 무르익어 모교로 돌아오던 젊은 한국 과학자들도 최근 UNIST를 택하고 ... ...
日 인공지능 로봇 모의시험 결과가…도쿄대 합격할까?
동아일보
l
2014.11.03
푸는 문제에 약하다. 물리에서도 물체 크기를 분간하지 못하고 단순한 점으로 취급했다.
교과
서에서 가르치지 않는 상식이나 '사회정의' 같은 어휘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했다. 연구팀은 "도쿄대에 합력하려면 적어도 90점 이상 받지 않으면 안 된다. 좀 더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생명이란 무엇인가’다. 아직 생명을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생물학
교과
서에서도 그저 생명의 몇 가지 특성을 정리한 수준이다. 김 교수는 이런 상황도 책에 설명했다. “한 마디로 딱 부러지게 말할 수 없는, 같은 듯 다른 아니 다른 듯 같은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생명의 매력이 ... ...
수학과 역사,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2014.10.13
정인지에게 ‘계몽산’을 배우기도 했다. 계몽산은 조선시대에 통용됐던 일종의 수학
교과
서다. 수학에 대한 세종의 열의는 마방진에서도 드러난다. 이 교수는 세종이 마방진을 통해 새로운 조선의 모습을 발견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를 보여주며 마방진 이야기를 풀어냈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