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22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 360종 유전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특정 유전자를 수정하거나 제거하는 등 유전자 변형을 일으키기도 용이해 유전자
기능
을 확인하는 연구에도 많이 쓰인다. 생애주기가 짧고 번식력이 뛰어나다는 점도 오랫동안 실험 모델로 쓰인 이유다. 초파리에 속하는 종도 4400종이 넘어 진화 패턴과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 ...
빵 먹으면서 천식 예방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빵이 탄생했습니다. 지난 6월 브라질 상파울루연구재단은 천식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기능
성 빵이 임상 시험에서 천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3월 21일 국제학술지 '현대영양학발전'에 실렸던 논문의 내용을 입증한 결과였어요. 마르코 보르헤스 브라질 상파울루대 ... ...
염증성 단백질 없애자 쥐 수명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당단백질인 항체를 사용해 인터루킨11의 생성을 억제했을 때도 대사와 근육
기능
이 향상됐다. 인간 나이 55세에 해당하는 75주령 쥐에게서 수컷과 암컷의 수명은 각각 22.4%, 25% 증가했다. 노화와 관련된 암 발생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인터루킨11을 ... ...
AI가 기록 판독하고 탄소배출 감시...파리올림픽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AI는 심판의 더 정확한 채점과 판독을 위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를 분석하는
기능
까지 한다. 올림픽 공식 타임키퍼 기업인 '오메가'가 파리올림픽에 적용하는 AI 기반 '컴퓨터 비전 기술'이 대표적이다. 타임키퍼는 스포츠 경기에서 선수들의 기록을 측정하는 시계장치다. 컴퓨터 비전 기술은 ... ...
[동물do감] 가재는 왜 선명한 빨간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잘 띄지 않는 색으로는 갈색, 회색, 검은색 등이 있다. 연구팀은 “눈에 띄는 색상이
기능
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지난 두 세기 이상 진화론적인 관점을 통해 설명돼왔다”며 “공작의 화려한 깃털이나 뱀의 색상 패턴처럼 눈에 띄는 색상의 유용성을 자연 선택으로 설명해왔다는 ... ...
'마술 버섯' 속 환각 물질, 정신질환 개선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뇌의
기능
적 네트워크에 광범위한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대뇌 피질과 피질 하부의
기능
적 연결성(FC)을 방해하며 뇌가 특별한 작업을 하지 않거나 휴식할 때 활성화되는 뇌 연결 집합인 '기본 모드 네트워크(DMN, Default Mode Network)'의 구분 경계를 무너뜨렸다. 실로시빈은 메틸페니데이트보다 3배 이상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를 더욱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AI 디지털 교과서의 온라인
기능
을 이용해서 현장의 모든 전문가를 초·중·고 학생의 멘토로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역시 황당하다. 현장에서 바쁘게 일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일면식도 없는 초·중·고 학생의 어설픈 요구에 신경을 쓸 ... ...
"프로포폴, 뇌 흥분시켜 정신 잃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프로포폴을 투여받아 의식이 상실되는 1시간 동안 시각, 소리 처리, 공간 인식 및 실행
기능
등 뇌 피질의 4개 영역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정상적으로 깨어 있는 상태에서는 어떤 입력이 있든 뉴런 활동이 급증한 다음에 뇌는 곧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갔다. 반면 프로포폴 투여가 시작되자 뇌는 ... ...
뇌세포 '골지체 이온채널' 발견…"인지장애 치료 열쇠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우수한 성과를 거둔 성공적 사례”라고 말했다. 이창준 단장은 “골지체의 형태적·
기능
적 변화가 어떻게 기억력에 관여하는지 밝혔다”며 “골치체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면 다양한 신경 퇴행성 뇌질환에서 발견되는 인지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 ...
아라온호 15번째 북극 여정 출발…북극 해빙·메탄 방출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기후변화로 여름철 해빙 면적이 줄면서 해빙이 온도 조절
기능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서 이에 따라 중위도 지역에 이상기후 현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아라온호 연구팀은 북극해에서 가장 빠르게 변하고 있는 태평양 방향 북극해에서 해빙과 해류의 특성을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