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뉴스
"
보자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의 속살 vs 별의 시체
2016.04.28
해보니 더위든 추위든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더위나 추위가 없는 멋진 가을을 기대해
보자
.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 ...
[멸종위기 못·친·소] 못 지켜준 친구들을 구해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26
똥 종이 등의 선물을 증정한다. 아래 링크에서 각 지지자의 영상을 확인하고 투표해
보자
. 투표 장소 ☞ www.dongascience.com/event/friends 클릭해서 투표하러 가기 투표 기간 2016년 4월 22일(금)~5월 8일(일) 프로젝트 소개 영상 ... ...
새로운 운영체제, 티맥스OS는 오픈소스를 정말 사용하지 않았을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4.21
일갈했다. 하지만 이런 반박에도 불구하고 의심의 꼬리는 이어지고 있다. 아래 사진을
보자
. 티맥스OS 탐색기 화면 위 이미지는 티맥스OS의 탐색기의 파일트리다. 노트패드 앱과 레지스트리에디터의 아이콘을
보자
. 와인 프로젝트에서 쓰는 그 아이콘이다. 이런 것을 보면 FreeBSD와 와인의 ... ...
스마트폰 ‘Home’스크린이 앱의 공동 묘지가 되는 이유
2016.04.13
다운로드 된 후 사용자에게 쓰임을 받는 얼마의 기간 - 상징적으로 100일 이라 해
보자
- 동안 앱은 진화하는가? 앱을 세상에 내놓는 출시자가 앱의 진화가 무엇이고 앱이 왜 진화해야 하는지를 이해 못한다면 그 앱은 100일을 못 채우고 홈 스크린의 공동 묘지에 안장될 가능성이 많다. 앱의 진화는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교육 100배 즐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6.04.12
아침 저녁으로 쌀쌀하긴 하지만, 이젠 완연한 봄입니다. 나무마다 물이 오르고 봄꽃도 잔뜩 피는 중입니다. 집 주변 공원을 산책하면 어디선가 튀어나온 개구리의 울음소리도 들립니다. 그리고 ‘지구사랑탐사대(이하 지사탐)’에게 개구리 울음소리는 탐사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입니다. 탐사에 ... ...
[직접 타봤어요]기아 ‘니로’- 재규어 ‘올 뉴 XF’
동아일보
l
2016.04.12
호랑이 코 그릴 때문인지 ‘전형적인 기아차’라는 느낌이 강했다. 하지만 옆과 뒤를
보자
꼭 해치백 같으면서도 매끄러운 외관이 눈에 들어왔다. 휠베이스(축거) 2700mm로 실내공간도 넉넉한 편이었다. 게다가 기존에 없던 소형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량이라니. 궁금증이 생기는 것은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2016.04.08
'설탕전쟁'이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었던 한 주였습니다. 정부도 2020년까지 성인당 1일 설탕 섭취량을 각설탕 16개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고 하는데요, 그야말로 정말 '전쟁'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과학동아 2012년 7월호에도 관련 기사가 있어 소개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게 되는 ... ...
착한 사람 제조 기술: 버튼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착한 사람이 될 수도 있다?
2016.04.06
더욱 멋지지 않을까? 사용자도 모르게 사용자를 착하게 만드는 기술에 대해 생각해
보자
. ● ‘선행’도 시간이 있어야 할 수있다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의 심리학자들이 일명 ‘선한 사마리언’ 이란 심리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수업 과제 발표를 하러 가는 학생들이 도중에 길에 쓰러져 있는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
2016.04.04
평균값은 예상대로 정당화된 부정직성 곡선에 가깝게 나왔다. 이를 나라별로 나눠 그려
보자
PRV지수가 낮은 나라들의 경우 대부분 정당화된 부정직성 곡선에서 100% 정직성 곡선 사이에 분포했다. 반면 PRV지수가 높은 나라들은 대부분 정당화된 부정직성 곡선에 가까웠다. 나라의 정직성과 국민의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2016.03.31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2000년 11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보자
. 마치 새 한마리가 날개를 접고 고개를 숙인 채 맛있는 모이를 먹고 있는 모양처럼 보인다. 새의 정체는 잘 알 수 없으니 닭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 사실 사진의 주인공은 거문고자리에 있는 NGC6745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