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뉴스
"
인식
"(으)로 총 3,977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치료제·의료AI 허가받으면 뭐하나...보험 적용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3.03.30
참석한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디지털치료제, 의료AI는 굉장히 유망한 분야로
인식
되고 있지만 현장을 살펴보면 비용이나 규제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다”며 “올해 들어 이러한 부분을 살펴보고 있으며 산업계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아프냐, 나도 아프다"...동료 고통 공유하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이뤄졌다. 옥시토신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는 제브라피쉬는 스트레스 상황에 처한 동료를
인식
해도 경직 반응이나 접근하려는 모습을 일체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제브라피시와 포유류 동물을 비롯해 다양한 척추동물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감 능력이 아주 오랜 시간 전해져 내려왔을 수 ... ...
[씨즈더퓨처] GPT-4 적용한 스마트폰 앱은 뭐가 다를까
2023.03.26
스타트업 오픈 AI는 3월 14일 업그레이드 버전 챗봇 ‘GPT-4’를 내놨다. 이번엔 이미지를
인식
하고 글로 설명해주거나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갈 수 있고 계산처럼 추론 능력이 필요한 문제도 더 잘 푼다. 영어로만 제대로 된 답을 내놓던 챗GPT에서 발전해 한국어를 포함해 27개 언어를 더 잘 이해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로는 자신에게 너그러워야 성장한다
2023.03.25
던지기보다 따뜻한 말로 토닥이고 용기를 북돋아주는 태도가 버티는 힘을 만들어낸다는
인식
이 나타났다. 자신을 향한 엄격함과 너그러움은 양립할 수 없는 관계가 아니라 너그러움이 엄격함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를 향한 의심과 슬럼프 또한 모두 자연스러운 성장의 과정임을 ... ...
밤눈 어두워졌다면 서서히 시력 잃는 ‘망막색소변성증’ 의심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떨어져 나타난다. 망막에는 물체의 명암을 구분하는 막대세포와 물체의 형태와 색을
인식
하는 원뿔세포가 있는데, 망막색소변성증이 시작되면 막대세포부터 이상이 발생해 이후 원뿔세포까지 순차적으로 손상을 입게 된다. ●근본적 치료법 없지만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 시도 이뤄지고 있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유전자도 그 정도 되는데, 호르몬 같은 신호분자(리간드라고 부른다)의 유전자와 이를
인식
하는 수용체 유전자로 이뤄져 있다. 한편 수용체의 대다수가 G단백질연결수용체(GPCR)로 거의 1000가지나 된다. GPCR은 세포막에 박혀있는 단백질로 바깥쪽에서 온 리간드가 달라붙으면 구조가 바뀌면서 세포 ... ...
[오늘과학] 회사에 충성한 직원, 더 착취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연구팀은 “이런 착취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선 결국 관리자가 자신의 방식 오류를
인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넥 교수는 “회사에 대한 충성심은 부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며 “정말 까다롭고 복잡한 문제”라고 밝혔다. ... ...
정부 "국민 10명 중 8명 우주항공청 설립 필요
인식
"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개척자와의 대화'에 앞서 달탐사 로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민 10명 중 8명이 우주항공청 설립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우주항공청 설립 ... ...
"한국 젊은 여성, 정상체중임에도 스스로 과체중으로
인식
"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중요하지만 건전한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더욱 중요하다”며 “객관적인 체중
인식
을 위해 사회적 차원의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재훈 건국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건국대병원 ... ...
유방암 치료제에서 알츠하이머 치료 가능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투입한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형성이 촉진되고 단기기억과
인식
기억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된 아밀로이드베타 또는 타우 단백질을 과발현시킨 치매 동물모델에서 특정 유전자(타우 인산화효소 DYRK1A 및 p-GSK3β)의 발현을 조절해 뇌염증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