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23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농법의 역설? 주변 재래식 경작지로 해충 몰려
2024.03.22
가능성이 더 높다고 강조했다. 에릭 리히텐베르크 미국 메릴랜드대 농업자원경제
학과
교수는 "유기농 경작지 어떤 이동성 해충이 관련돼 있는지, 어느 지역에서 해충이 온 건지, 해충이 어떻게 그리고 왜 이동하는지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며 이 분야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 ...
노화 현상, '길이 긴 유전자' 탓...식이제한이 노화 늦춰
동아사이언스
l
2024.03.22
최소화한다고 보았다. 얀 호에이메이커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 의료센터 분자생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나이가 들며 일어나는 변화들은 긴 유전자들의 발현 감소와 연관이 있다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트렌드 인 유전학’에 22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벌레부터 인간까지 다양한 ... ...
"지중해 식단, 과민성 장 증후군 치료에 도움"
연합뉴스
l
2024.03.21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양약리
학과
치료'(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
일기예보·AI 토대 '확률론' 대가 탈라그랑,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탈라그랑 교수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그의 아내가 이완수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경영
학과
교수여서다. 낭만적이게도 첫 미국 여행에서 만난 이 교수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해 현재 자녀로 두 아들을 두고 있다. 상을 받을 때마다 아내에게 공을 돌리는데 특히 쇼상을 받을 때 “수학 덕분에 제 ... ...
장내미생물이 만든 물질로 당뇨병성 인지 장애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예방,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호재 서울대 수의
학과
교수 연구팀 장내미생물의 대사산물이 미토콘드리아의 자가포식 기능을 회복시켜 당뇨병성 인지 장애를 개선하는 경로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6일 국제학술지 '오토파지'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 ...
"하루 8시간 제한 '간헐적 단식',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 91%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없다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빅터 웬즈 종 중국 상하이교통대 역학·생물통계
학과
교수 연구팀은 8시간 제한 식사와 심혈관질환 사망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예비 연구 결과를 18~21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심장학회 ‘라이프스타일 및 심장대사 건강 과학 세션’에서 발표했다. ... ...
"국내 첫 민간 SAR위성 성공했지만…역량 잇기 어려운 게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7
SAR 개발 사업의 프로젝트매니저(PM)로 사업을 이끈 오현웅 한국항공대 항공우주
학과
교수를 이달 초 만났다. 그는 "뉴스페이스 시대의 도래를 위해선 이번 초소형 SAR 위성개발과 같이 100% 민간주도의 도전적 우주개발이 가능한 기회가 보다 더 많은 산업체에게 주어져 산업체의 역량이 높아질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이슬란드 도로 삼킨 마그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3.17
있을 것으로 우려를 표했다. 프레이스타인 지그문드손 아이슬란드대 지구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8일 사이언스에 아이슬란드 화산 지역의 균열과 지체응력이 매우 빠른 속도의 마그마 흐름을 유도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지체응력은 대규모 지각 변동을 일으키는 힘을 의미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밤낮 안 가리는 산불 원인은 기후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16
산불이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카이웨이 루오 캐나다 앨버타대 재생가능자원
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2만 건 이상의 북미 지역 산불 사례를 조사해 야간 화재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때문이라는 내용의 논문을 13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7~2020년에 북미 대륙 전역에서 ... ...
도심 비둘기에 '불임 모이' 주자?…"참새·직박구리도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비슷하기 때문에 다른 조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말이다. 성하철 전남대 생물
학과
교수는 "직박구리 등 도심 속에 살고 있는 새들이 우리 생각보다 많다"면서 "동물보호단체가 언급하는 근거가 위험성에 관한 다른 통계를 고려하지 않고 개체 수 변화에만 집중한 것 같다"고 했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