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스페셜
"
전공
"(으)로 총 646건 검색되었습니다.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시스템 통일 김한겸 교수는 1974~1980 고려대 (의학사) 1981~1983 고려대 대학원 임상병리학
전공
(의학석사) 1983~1989 고려대 대학원 (의학박사) 2009~ 루마니아 티르구무레슈의과대학 명예박사 1985~1987 육군과학수사연구소법의과 과장 1987~1988 한림대 의과대학 전임강사 1988~ 현재 고려대 의과대학 의학과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소통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좁혀가기 위해 국내 생명공학 연구진의 인력과
전공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해서 확보해 나갈 생각입니다.” 5일 서울시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용석 생명복지조정과 과장은 릴레이 회의로 수척한 모습이었다. 지난 5월 국과위 출범과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잃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생명공학 같은 과학 분야와 행정을 모두
전공
하는 과학정책 전문가를 육성하고, 이들이 과학정책을 연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필요할 때입니다.” 정준기 본부장의 ‘이것만은 꼭!’ △시장 규모나 세계적 추세를 보면 바이오화학이 유력하다.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건 소수라도 명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반면 그 시기 한국은 유전학에 투자하지 않아
전공
자들이 대부분 다른 분야로 옮겨 갔다. ▽최병호 소장=국내 업계의 낮은 경쟁력은 역설적으로 정부의 과보호가 원인이다. 제약 분야는 타 제조업에 비해 정부 지원을 특히 많이 받고 있다. 신약이든,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분야에서는 특히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생명공학
전공
자들의 취업과 연구 풍토 모두에서 출연연의 역할이 크기 때문이다. 이 단장은 “출연연은 기업이나 대학과는 다르다”며 “국가 이익을 대변하는 연구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생물자원 확보나 줄기세포 연구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 1987년~1989년 서울대 대학원 화학과 석사 - 1991년~1996년 미국 일리노이대 화학과 무기화학
전공
박사 - 1996년~1997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후연구원 - 1997년~현재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2010년~현재 서울대 중견석좌교수 - 2002년~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유전자에서 단백질로…정부도 장래성 보고 적극 투자 울렌 교수는 박사 때 분자생물학을
전공
하고 박테리아를 연구했다. 1990년대에는 사람의 유전자 지도를 그리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본격적으로 단백질 연구를 시작한 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끝난 2000년대 초반부터였다. “유전자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
동아사이언스
l
2011.01.25
-1997 ~ 2000 한림대 한림과학원 조교수 -2000 ~ 2004 강원대 자연대 생명과학부 (생화학
전공
) 부교수 -2004 ~ 2007 연세대 이과대학 생화학과 부교수 -2007 ~ 현재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분야는 대부분 생물학과 관련 있지만 국내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생물학을
전공
한 대학원생이 갈만한 기업은 소수의 대기업과 제약회사, 바이오벤처회사 등이 전부에요. 취업 문턱이 높고, 취업을 하더라도 대우가 다른 직종보다 낮으니 학생들이 연구원이 되길 꺼려하는 면이 있습니다 ... ...
“아시아 힘 합치면 세계 생물공학 주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0.19
학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물공학 사회기반기술분과 위원을 겸임하고 있다. 그는
전공
인 생물화학 지식을 기반으로 생물공학기술을 미래의 대표 산업으로 발전시킬 방법에 대해 생각을 밝혔다. ● 고급 기술력+풍부한 자원=‘그린’ 생물공학 박 사무총장은 생물공학을 발전시키려면 ‘레드’ ... ...
이전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