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왔다."지층면에 보이는 이 우묵우묵한 것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글쎄요 무슨 퇴적
구조
같기도 하지만 무엇인지 모르겠는데요""자갈과 같은 무기물이 퇴적되면서 남긴 흔적이라면 이렇게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다는게 이상하지 않은가. 이것은 틀림없이 어느 동물의 발자국이야. 이 지층이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불구하고 나름대로 잘 관찰하신 것 같아 다행입니다.일본에 활화산이 많은 까닭은 판(板)
구조
론에서 말하는 두 판의 경계부위가 두군데나 있기 때문이죠. 그 하나는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이 부딪치는 일본해구이고, 다른 하나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이 부딪치는 류큐(琉球)해구이지요.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나타났다.로마의 휴대용 계산기는 이전의 계산패나 부목 등과는 달리 제법 형식적인
구조
를 갖추게 되었다. 휴대용 계산기는 계산판과 계산말로 나누어져 있다. 계산판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0개 안팎의 홈이 세로로 곧게 파져있다. 그 홈위로 계산알들이 굴러다니며 숫자를 나타내었다.각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평형상태로부터 두뇌의 작동은 상당히 멀리 떨어져서 혼돈(chaos)에 가까운 역동적
구조
를 하고 있으며, 혼돈은 예상치 못할 시공간에 새로운 질서를 생성하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공간에 정신현상은 창출되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과학은 진리를 밝혀내는 도구이어야 하지만, 동시에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보기에는 부적합하다. 두번째는 이미 만들어진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다. 이렇게 되면
구조
가 훨씬 간단해지므로 최초의 생물에게 주어지는 부담이 훨씬 줄어든다. 그러나 문제는 어디에 있는 무엇을 먹느냐다.원시지구의 대기는 지금과는 달리 메탄 암모니아 수증기 수소로 이루어져 있었다. 195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사실은 너무나 당연하다. '강한 AI'개념은 현재의 컴퓨터
구조
를 뛰어넘는 것이다. 지금 상식으로 보면 이해하기 힘들지만 수십년후에는 매우 기초적인 개념이 될지도 모른다.AI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던 1982년에 일본정부는 세계 최초로 이 분야의 거대프로젝트를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등 여러 연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패턴 인식은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어떤
구조
를 찾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가장 물리적인 탐색은 인간의 눈에 의한 방법이다. 인간에 의한 탐색 방법의 가장 커다란 장점 중의 하나는 주어진 패턴을 흑백 논리식으로 분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전달장애 때문에 일어나는 중추기능의 억제이며, 음성증상은 뇌세포의 감소에 따른
구조
적변화라고 했다.한편 플로헨리(Flor henry)는 신경심리학적 검사를 통해 정신분열증이 좌반구장애임을 입증했다. 또한 그는 뇌전산화단층촬영 결과 뇌실(腦室)이 커져 있음을 발견했는데 그 이유는 대뇌 피질의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스탠퍼드 선형가속기였다. 또 이 연구소들은 자체내에서 얻은 중성미자를 사용, 물질의
구조
를 연구해 왔고 심지어는 중성미자천문학(neutrino astronomy)도 이제 논의되고 있는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성미자의 질량이 어느 정도인지 도대체 정체가 무엇인지조차 모르고 있다.우주에서 오는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 즉 벌레구멍은 검은 구멍의 사촌뻘이 되는 시공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우주(시공간)의
구조
를 결정하는 중력의 방정식에서 검은 구멍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 해(解)를 통해 얻어진다.그런데 이 벌레구멍은 시공간 사이를 잇는 좁은 지름길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 ...
이전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