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오염의 실상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인공호수 부영양화는 댐 완성 후 10여년 간에 걸쳐 국가적 문제가 된 일이 있다. 이는
자연
을 개조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를 알려주는 귀중한 교훈이 아닐 수 없다. 수질을 영양염류의 레벨로 크게 빈영향(貧榮養)과 부영양(富榮養)으로 나눌 때 인간활동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는 빈영양에서 ... ...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두루마리를 펴 간다는 뜻이 라틴어 Evolvere의 어원에서 왔다고 한다. '역사적 전개' 즉
자연
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일을 뜻하는데 쓰인것이 그 효시였다. 사실 모든일에는 어제가 있는데서 오늘이 있게 된 것이라고 보는 일은 당연하다. 다윈의 종의 기원은 나의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나는 ... ...
컴퓨터 수입개방의 파장 선진화를 위한 도약대가 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완제품수입을 일부 규제함으로써 외국기업이 그들의 기술을 국내기업에 이전하는 것을
자연
적으로 유도한 정책이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기술도입을 터놓고 완제품수입을 막는 것은 기술도입에는 어느정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대부분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소라고동이라는 천적이 있다. 그래서 산호초가 보호되기도 한다. 이것은
자연
계의 먹이 사슬이면서 동시에 순환보호 사슬이라고도 할수있다. 이런 균형을 무너뜨린것은 역시 인간이다. 섬의 개발로 대량의 토사가 유출되어 이것을 덮어쓴 산호초가 질식사해버렸다. 또 소라고동도 남획되었다. 지금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환자들은 또한 암이나 그밖의 치명적인 질환에 걸려 치료를 받을 때, 그들 자신의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익힌다. 환자의 태도가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점점 더 확실해지고 있다.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치유에 도움이 되는 태도를 지닌 환자일수록 약의 효과가 커질것이다 ... ...
남자와 여자는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쉬운 시기다. 이런 시기에 성충동이 높다는 것은 성이 본래 번식을 위해 있는 것이라는
자연
의 이치에 따른 당연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남자는 왼쪽 발이 더 크다 '여자는 발육이 빠르다'고 흔히 말한다. 제2차성징도 몸이 완성되는 것도 확실히 여자쪽이 빠르다. 남자는 태어난 시점에서 4~5주 ... ...
매미, 그길고도 짧은 생애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또 나뭇가지에서 부화된 유충이 물에 떨어지면 물고기들이 잽사게 먹어 치운다. 그러나
자연
계의 다른 동물들보다도 매미의 종족유지에 가장 해를 끼친자들은 아메리칸 인디안들이었다. 인디안들은 매미를 스낵거리로 많이 잡았다. 지금은 인디안의 수가 줄고 거의 집단생활(인디안 보호구역)을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가려 사용해야 할것이다. 수도물「믿어라」와 「못 믿겠다」 도시화의 확대로 깨끗한
자연
수 공급이 달리게 되자 사람들은 인공으로 정화한 수도물을 생산하는 지혜를 짜냈다. 처음 수도물이 공급되기 시작했을때 사람들은 이것도 문명의 혜택이라하여 크게 기뻐했고 편리하게 느꼈다.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탄산가스 배출, 신장의 배설작용등 3가지 인체의 작용이 항상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연
조절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료 등의 인위적인 방법으로 몸의 산도를 바꿀 수는 없다. 만일 몸의 산도가 정상에서 0.1~0.2 정도만 벗어나도 생명을 잃게 된다. 따라서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꽃이름은 외우고 있어도 우리 고유의 꽃에 대해선 무지하기 일쑤인 실정이다. 우리의
자연
환경에 적합한 고유의 야생화를 생할주변에서 가까이 할 수 있다면 굳이 외래종을 힘들여 가꾸지 않더라도 손쉽게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난초류에서 수생식물까지 재배가능 우리나라의 산과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