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이미 씨앗을 만들었기 때문에 시기가 늦었을 뿐만 아니라 제거하는 과정에서 씨가
사람
에 묻어 다른 지역에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블로그(ksdsuper.blog.me)와 홈페이지에서 생태계교란야생식물 11종을 확인해 보자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시각(時刻)은 그때 그 순간을 표현할 때 쓴다.閏秒 윤초(윤달 윤, 분초 초)7월 1일, 전세계
사람
들의 시간이 1초씩 늘어난다. 이렇게 덤으로 갖게 되는 1초를 ‘윤초’라고 한다. 윤초의 첫 번째 글자인 ‘윤달 윤(閏)’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문(門)’ 안에 ‘왕(王)’이 들어가 있다. 옛날 중국에서는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페트 등 다양한 플라스틱이 탄생하게 됐답니다. 1 변신 “플라스틱이 이렇게
사람
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이유는 가볍고 값이 싸고 어떠한 모양으로도 만들기 쉽기 때문이야. 하지만 단점도 있지. 불에 잘 타고 흠집이 나기 쉬워. 게다가 잘 썩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기도 하지.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호주 모나시대 중독치료센터 연구팀도 이에 대한 연구를 했는데, 무언가에 중독된
사람
이 다른 요인에 중독될 가능성은 약 58%나 됐다. 청소년 시기에 스마트폰에 중독됐던 경험이 있다면, 성인이 되어서 알코올이나 게임에 중독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김 박사는 “뇌는 이성적이면서 감성이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정도 모양이 바뀐 성조기에는 오목 육각형 별이 아닌 오목 오각형 별이 있다고 한다.몇몇
사람
들은 이 일화가 꾸며낸 이야기라고 주장하지만, 실제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베치 로스의 집을 방문하면 직접 종이를 접어 한 번만 자르기로 오목 오각형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 코너가 있다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여러 수학 관련 축전에 참가한다.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
은 물론 수학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
도 수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매스 파이오니어는 머리를 맞대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수학의 신대륙을 개척한다는 의미의 동아리 이름처럼 이들은 수학 축전에 한 번도 나오지 않은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7:3이다. 아무래도 밥을 많이 먹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건 밥보다 면이나 빵을 많이 먹는
사람
들은 6:4에 가깝다는 점이다. 송 교수는 “면을 먹을 때 고기를 포함해 다양한 반찬을 더 먹는 경향 때문”이라고 말한다.어쨌든 전체 탄수화물 섭취는 조금씩 줄고 있다. 문제는 가공식품을 통해 먹는 당이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 맨 앞에 있는
사람
이 이렇게 외치며 손을 들면 그 뒤로 다른
사람
들이 차례차례 줄을 선다. 마찬가지로 온도를 재려면 기준이 있어야 했다. 특정 온도 몇 개로 기준을 정한 뒤 그 사이를 잘게 쪼개 눈금을 만들면 훌륭한 온도계가 된다. 온도 측정의 역사는 더 정확하고 편리한 기준을 만드느냐의 ... ...
천재 곤충학자 ‘파보니 벌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노랫소리를 흥얼거리기 시작하던 그때! 풀숲에서 메뚜기 코스프레를 한 요상한
사람
이 뛰어나와 말했다.“메뚝! 곤충랜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지금부터 천재 곤충학자 파보니 벌레리나와 함께 곤충 세계로 모험을 떠나 보시죠!”“네에? 전 그냥 곤충 관찰하러 숲에 온 건데….”미션1 샌드위치를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거예요. 35m 정도 몸 길이에, 몸무게는 무려 32t이나 되거든요. 절대 귀여운 덩치가 아니죠.
사람
들은 제가 무겁기 때문에 걸어 다닐 때 천둥 번개가 칠 때처럼 ‘우르르 쿵!’ 하는 소리가 났을 거라 생각했어요. 그래서 제 별명을 ‘천둥 도마뱀’, ‘번개룡’으로 지어 줬죠.지금은 저를 직접 만날 수 ... ...
이전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