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루미늄 포일의 변신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번번이 실패를 거듭하는 어느날‘빙정석’이라는 유백색의 유리덩어리와 같은 광물을
실험
대상으로 한 것이 홀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었다. 빙정석을 계속 데워 1천℃에 이르렀을 때 빙정석이 녹기 시작했다. 여기에 소량의 보크사이트를 넣었더니 녹는 것이었다.홀은 이 데워진 액체 속에 전극을 ... ...
원시인류는 흰개미를 먹었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영상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비교한 결과, 연구팀이 흰개미의 흙무더기를 팠던
실험
용 도구에 나타난 흔적이 원시인류의 뼈 도구에 나타난 흔적과 동일함을 발견했다.남아프리카 위스워터스랜드대학의 루신다 백웰 박사는 “발굴된 도구 모두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그 길이도 13-19cm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질병 치료에 유전자조작원숭이가 크게 공헌할 수 있다는 말이다.한편 앤디의 유전자조작
실험
을 주도한 셰튼 박사는 지난해 수정란 분할을 통해 복제원숭이 ‘테트라’를 탄생시킨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셰튼 박사는 유전자조작 원숭이를 복제와 연관지을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조작은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무선조종장치로 도킹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화물선이 미르의 6개 모듈 중 하나인
실험
선 스펙트르의 태양전지판과 충돌하면서 스펙트르의 표면이 찢기고 기내에서 산소가 방출돼 기압이 떨어지는 손상을 입었다. 우주선 조정미숙에 따른 인재였다.사고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스펙트르의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분야인 ‘마이크로유체공학’이 생명공학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자동화된
실험
기기나 진단키트 등을 소형으로 만들려면 현미경 수준에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하나의 칩 위에 μg(1μg=${10}^{-6}$g) 단위의 시료를 넣어주면 DNA의 정보를 알려주는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누구나 가장 묻고 싶은 질문이 아닐까.“바이오벤처는 잡학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실험
실의 연구성과를 기업화 하기 위해서는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할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또 과학기술자도 일단 기업을 세웠다면 영업 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기술이 있으면 벤처가 되지만 결국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대학원생 3명이 직접 관여해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학 내에 있기 때문에
실험
실습과 같은 용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우리은하 내에 있는 큰 분자구름에 대한 논문연구와 같은 장기프로젝트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현재 서울대 전파망원경은 달, 행성, 오리온 성운 등에 대해 시험관측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와인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름 10nm의 갈륨 이온빔을 주사해서 탄소표면에 와인잔 모양을 구현한 것이다.이
실험
의 성공으로 생체의 혈관 속에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바이오센서와 같은 초미니 기기들과 반도체의 집적화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으며, 나노기술 분야가 기대만큼 성과를 보여준 결과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 ...
고기를 연하게 만들려다 발견된 살균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접종한 소의 간을 HDP로 처리한 후 검사해보니 O157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여러
실험
을 통해 HDP는 고기에 있는 대부분의 병원균을 없애는 유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HDP가 실용화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미래에 고기의 병원균 위험을 줄이는데는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
세균 잡거나 약 전달하는 나노헬리콥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로 이뤄져 있으며, 세포의 에너지원인 아데노신3인산(ATP)을 연료로 사용해 회전한다.
실험
실에서 바이오 모터는 세포 내의 연료만을 사용해 1초에 8번 프로펠러를 돌리면서 2시간 30분 동안 헤엄쳐 다녔다.이 결과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작동할 수 있는 초소형 기계가 머지않아 만들어질 수 있다는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