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줄기는 대상에서 반사된 뒤(➌) 카메라로 들어온다(➍). 연구팀은 ‘스트리크 카메라’를
이용
했는데, 이 카메라에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센서가 480개 들어 있다.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은 먼저 거울 두 개에서 반사된 뒤 렌즈로 들어온다.한 번에 2차원 영상을 찍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이 카메라는 ... ...
눈이 귀보다 빨리 늙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96세까지 살 수 있다고 한다. 100세 시대가 펼쳐진 지금, 줄기세포와 성장호르몬 등을
이용
한 항노화제품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젊게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노화는 늦출 수는 있어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나이가 들면서 기능이 점점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몸 안에서 강력한 항암 면역작용을 유도해 암을 치료한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세포를
이용
해 환자의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데 바탕을 둔 것이다. 이 때문에 기존 항암치료와 달리 각 환자에 따른 맞춤치료가 가능하며 부작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모세포종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 ...
물처럼 꾸준하고 쉼없이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느끼게 한다. 대학원에 처음 들어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필자는 저수지를 어떻게
이용
해야 기후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지 계산하고 대안을 찾는 연구를 했다. 연구실에서는 저수지 말고도 다양한 유역을 연구했다. 쉽지 않은 연구였지만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어 즐거웠다. 그러나 당시 새로 ... ...
포스텍에 대한 열망을 보여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레미디 과정의 화학과목을 들어야 한다.다솔 양은 1학년 내내 학교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이용
했다. 신청하면 학교에서 성적이 좋은 선배를 멘토로 연결해 준다. 선배들이 같은 학생의 입장에서 가르치기 때문에 이해도 잘 되고 더 편하게 질문할 수 있어 도움을 많이 받았다.공부량이 만만치 않다.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컴퓨터로 일일이 가능한 경우를 따져 보는 수밖에 없다. 해서웨이는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
해 정육면체를 만드는 480가지를 모두 만들었다. 소마큐브의 잘하는 방법은 포함배제!공식은 없지만 소마큐브를 잘하는 수학적인 방법은 있다. 바로 포함배제 방법! 포함배제 방법은 어떤 도형을 만들 때 꼭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돌을 놓아 관중석을 만들었다. 반면 로마 시대에는 콜로세움처럼 언덕이 없어도 아치를
이용
해 경사진 관중석을 만들었다. 이 곳의 관중석은 그리스 극장의 바깥쪽에 로마 원형극장을 덧붙인 모양으로, 그리스와 로마의 원형 극장 양식을 모두 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다.당시 이 극장은 남녀 신분에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주인이 머리로 문을 열면 개도 머리로, 주인이 손으로 문을 열면 개도 앞발을
이용
해 문을 열었대요.왜 우리가 주인의 행동을 따라할까요? 레인지 박사는 우리가 주인과 가까워지기 위해서 그러는 것 같다고 분석했어요. 빙고! 맞아요. 우린 따라쟁이예요. 레인지 박사는 “우리가 주인의 행동을 잘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영상을 화면에 띄워 참고할 수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인 디베이션유엑스는 키넥트를
이용
해 마우스 없이 손동작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키모트’를 개발했다. 대학이나 연구소에서도 저렴하면서 성능이 좋은 게임기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이런 활용 사례가 많아지자 마이크로소프트도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ESO)와 유럽, 호주 등지의 과학자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
해 행성을 찾는 방법에 주목했다. 지구에서 볼 때 별 두 개가 정확히 겹치는 순간을 관측하면 가까운 별이 렌즈 역할을 해 뒤에 있는 별에서 오는 빛을 휘게 한다. 이 빛은 대칭이지만, 만일 가까운 별에 행성이 있다면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