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분모가 점점 0에 가까워지면 나눈 값이 얼마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이것은 마치 가장 큰 자연수가 얼마인지 말할 수 없어 ‘없다’고 하는 것과 같죠.이제는 0으로 나눈 값이 정말 ‘없는지’ 나눗셈의 정의로 돌아가서 알아봅시다.3에 2를 곱한다는 것은 3+3과 같이 3을 두 번 더하는 것이에요.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2%를 줄이려면 반사장치를 30만km2 면적으로 깔아야 한다. 우주 반사장치의 가장 큰 장점은 설치 후 기온 감소가 불과 몇 년 안에 빠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하지만 계획대로 모두 짓는 데 수십 년이 걸리기 때문에 설치하는 동안 이산화탄소가 계속 증가할 수 있다. 13. 구름 반사도 높이기구름은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있을지 주목해 봐야 할 때다. 남극점 바로 옆 얼음 아래 깊숙한 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중성미자망원경이 묻혀 있다. 지난해 12월 완성된 중성미자망원경 ‘아이스큐브’는 부피가 대략 1km3인 얼음속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광센서 5160개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깊이 1.5~2.5km에 묻힌 ...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허브 될 것”연세프로테옴연구원은 국내 프로테오믹스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우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울대 의대 등 국내 150개 기관에 있는 353개 연구 그룹의 시료 분석을 돕고 있다. 지난 6년간 약 4000여 건의 분석 서비스를 제공했다. 국내 프로테오믹스 연구의 기반을 제공한 ...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염소부산물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부산물이 사과 표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염소부산물 중 일부가 발암물질이라는 것이다. 흙속에 들어 있는 휴믹산(humic acid)과 펄빅산(fulvic acid)은 염소와 결합해 클로로포름(CHCl3)을 만든다. 이런 염소부산물은 물에 잘 씻기지 않는다. 식품허용치 ... ...
- 자신을 이해하면 갈등도 풀린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오해도 처음에 해결하기가 어렵지, 한번 풀리고 나면 인생의 나머지 문제를 푸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중요한 것은 일단 시도하는 자세다. 아치 발트하트의 ‘마음을 다스리는 10가지 방법’에는 ‘시작만큼 진정으로 아름다운 것은 없다’는 말이 나온다. 그것이 개인적 변화를 위한 것이든, 새로운 ...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물론 수학이 익숙지 않으면 시작하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꾸준히 공부한다면 큰 즐거움과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고수의 비법전수 어떤 공부가 유망할지를 따지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어떤 공부든 좋아하는 공부를 즐겁게,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달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로 쉽게 관측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도 지구에 큰 영향을 주므로 예로부터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돼 왔다. 한달이라는 시간도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며, 동양에서는 ‘음력’을 쓴다.그렇다면 지구 주위에서 달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 달이 ...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우리나라 전체를 뒤덮는 망원경이 있다. 지름이 478km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이다. 이 거대한 관측망은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각각 하나씩 ... 만들어진 장치를 ‘상관기’라고 부른다. 발달한 IT기술 덕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용량을 처리하는 상관기를 보유할 수 있게 됐다. ...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가려면 몇 등급이 돼야 할까요?”“특정한 대학의 학과 커트라인을 고민할 게 아니라, 큰 방향부터 정해야지. 일단 좋은 연구를 하려면 좋은 교수진과 실험시설, 연구환경이 갖춰진 학교에 들어가야겠지. 그런 학교들이 흔히 말하는 명문대인 거야. 그래서 다들 명문대에 들어가려고 하고, 경쟁률이 ... ...
이전6546556566576586596606616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