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융해한 후 전기분해하면 얻어진다 금속은 공기 속에서 표면이 쉽사리 산화하고 4
7
℃가 되면 인화(引火)한다물질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정의되는 온도 기호는 K 섭씨 영하 2
7
315˚를 0˚로 하여 보통의 섭씨와 같은 눈금으로 잰 온도이며, 절대온도의 0˚K(절대영도)는 물리적으로 생각되는 가장 낮은 ... ...
휴대전화에도 쓰이는 차세대 암호연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활용할 길이 보인다”고 말한다. 현재 정수론 및 암호론 연구실에서는 박사과정
7
명과 석사과정 2명의 학생이 땀흘리며 난공불락의 타원곡선 암호를 만들어가고 있다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HSST(High Speed Surface Transport)다.이후 나리타공항 노선은 취소됐지만 이 모델은 그동안
7
단계의 차량 제작, 실험을 거쳤다. 결국 2005년 나고야 노선(9km)에서 상용화된다.우리나라는 1989년 12월 과학기술부 국책연구로 개발에 착수해 독자적인 자기부상열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기본 방식은 흡인식인 ... ...
모자 미라에 바쳐진 흰 국화꽃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청명함이 인상적이었던 지난 11월 14일, 기자는 고려대 박물관을 찾았다. 박물관 2층에서
7
일부터 22일까지 열리고 있는 ‘파평윤씨 모자 미라 및 출토유물전’을 보기 위해서다.입구를 들어서자 20여명의 사람들이 전시된 의복앞에 서서 안내자의 설명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주위를 둘러보니 도대체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852년에는 절대온도의 단위로 명명된 켈빈이 열펌프 장치를 고안했다. 그리고 192
7
년 영국인 할덴이 열펌프 장치를 처음으로 제작했다.열펌프가 시장에 나온 때는 1950년대 초. 미국에서 주택용 열펌프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충분한 연구개발을 거치기 전에 시장에 나온 열펌프는 신뢰도가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전자와 중성미자로 붕괴된다 1936년 C 앤더슨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질량은 전자의 약 2백
7
배로 중간자족에 속하는 것이지만 소립자로서의 행동은 물질입자인 전자에 가깝다 따라서 분류할 때는 중간자족에 넣지 않고 경입자족에 속하는 입자로 간주한다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수정란이 되면 곧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한 민감도는 개인차가 심해 카페인의 효과가 느껴지는 최소 농도가 1.8mg에서 1백
7
8mg까지 거의 1백배나 차이가 난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했다. 하루에 커피를 여러잔 마셔도 아무렇지 않은 사람이 있는가하면 한잔만 마셔도 밤을 꼬박 새우는 사람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민감한 극소수의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자료를 지구에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 1-2달이 걸릴 정도였다.갈릴레오의 주요 미션은 199
7
년 12월에 끝났다. 이후에도 탐사선은 능력을 십분 발휘해 3차례 미션이 더 진행됐다. 첫번째 연장 미션은 ‘갈릴레오 유로파 미션’. 2년간 유로파를 철저하게 조사하기 위해 8회 접근했고, 칼리스토에 4회,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발견했고 이어서 5월 4일 일본의 아라키 겐이치(荒貴源一)와 영국의 J 알코크가 발견한
7
등의 새 혜성이 그것과 같은 것임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아이라스-아라키-알코크라는 이름이 붙었다 강한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소립자가 공통으로 지니는 성질에 대응하는 물리량 원자핵에서 질량수는 같고 ... ...
이공계가 과학기술 강대국 中國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중국의 활약은 놀랍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원자폭탄(1964년)과 수소폭탄(196
7
년) 등 국방기술이 발달했다. 이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에서 알 수 있듯 항공우주공학은 정상권에 진입했다.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한데 이어 아시아인의 주식인 벼게놈프로젝트를 주도했다.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