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상기하학
기하학
위상수학
수학
페이즈
d라이브러리
"
위상
"(으)로 총 724건 검색되었습니다.
2. PC와 PC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방식인 것이다.랜의 자료 전송방식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 연결방식(topology,
위상
)과 관계가 깊다.컴퓨터 통신을 위해 전화회선이 필요하듯 컴퓨터와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도 케이블이 필요하다. 케이블의 종류는 굵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굵은 이더넷 케이블 : 보통 1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추구하려 하고 있다. 결국 이를 위해 세계 각국은 자국의 지리적 여건, 국제적
위상
, 국가적인 재원조달능력 등에 따라 자국에 적합한 최신의 함정을 확보하려 할 것이다 ... ...
1. 한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처리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비트맵폰트와 윤곽선폰트, 그리고 글자의 구조를 획의
위상
(topology)으로 표현하는 구조적 폰트 등 세가지로 흔히 분류된다.비트맵폰트(bitmap font)란 글자를 그림 또는 화상으로 간주하여 픽셀(점)단위로 표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비트맵 폰트는 점으로 글자를 구성하므로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송수신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동시에 많은 표적을 포착할 수 있다. 교전통제소는
위상
배열 레이더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해 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적일 경우 미사일 발사대에 미사일 발사 지령을 내리는 기능을 한다. 또 미사일이 표적에 정확히 유도되도록 최적의 경로를 계산, 미사일이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또다른 커다란 구덩이 티코 브라헤가 빛나고 있다. 달은 언제나 여러가지 모양으로
위상
이 변하는데 이에 따라 출몰시각도 바뀌게 된다.13일경이 되면 폭풍의 바다 북쪽에 아리스스타르쿠스 분화구가 보인다. 이 분화구는 플라토와 함께 지각 활동이 활발해 밤에도 빛을 볼 수 있다. 달의 남극지방엔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반달을 이룬다. 이 때를 상현(上弦)이라고 하며 한 밤중에 서쪽으로 져버린다. 계속 달의
위상
은 변해 마침내는 완전한 구면형태가 된다.이 때는 해가 지자마자 달이 뜨는 것을 보게 된다. 이 때를 망(望), 이 때의 달을 보름달(滿月)이라고 한다. 지구를 가운데 두고 태양과 달이 반대쪽에 있는 상태다.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달초 42초의 크기에서 이달말 27초 정도로 작아 진다. 비록 시직경은 작아지지만
위상
변화는 초생달모양에서 반달 모양으로 변해가고 있다.이달 금성은 보통 새벽 3시가 조금 넘어서 뜨게 되는데, 이때는 태양도 하지점을 향해 적위가 커지는 때이므로 아침 천문박명 시간은 3시 30분경부터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59분으로 무척 빨라져서 새벽 하늘을 밝히게 된다. 밝기는 -4등급 이상을 유지하고 크기와
위상
의 변화도 뚜렷하다.16일에는 수성이 금성의 남쪽 8도 부근을 통과하고, 20일에는 월령 27.8의 달이 금성의 북쪽 30분 지역을 통과하게 되므로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30분의 각 거리는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부르바키는 현대수학의 기본구조를 대수구조(algebraic structure) 순서구조(order structure) 및
위상
구조(topological structure)의 3가지로 대별하고 이 세구조를 바탕으로 현대수학의 모든 분야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주로 했다.수학을 양(quanity)에 대한 학문이 아니고 구조에 대한 학문으로 파악하려는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얹혀 있는 더부살이를 빨리 벗어나야겠지요. 외국과 교류할 때도 천문대의
위상
때문에 곤란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20주년을 맞아서 알찬 국제학술대회를 하나 계획하려 합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우수한 학자들이 많이 배출돼 천문학 전 분야에 전공자가 골고루 퍼져 있습니다.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